이번 사고는 2018년 말부터 계속되고 있는 현장 노동자 사망사고에 따라 기업의 안전대책을 향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진 상황에서 일어났다. 더욱이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2019년을 건설현장 노동자 추락사고 근절의 해로 삼겠다고 목소리를 높인 시기였다.
김 장관은 2월20일 경기 하남의 주택 건설현장에서 건설사고 사망자를 줄이기 위해 진행한 간담회에서 “건설현장에서만 한해 400명 이상이 사망하는데 그 중 절반 이상이 추락사고”라며 “올해를 건설현장 추락사고 근절의 원년으로 삼겠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8일 국토부 장관 최초로 진행한 건설산업 양대노총 간담회에서도 “현장의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 우리 모두 힘을 합쳐야 한다”며 건설현장의 안전 강화를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국토교통부는 건설현장의 안전사고를 막기 위해 2월18일부터 3월29일까지를 집중점검 기간으로 삼고 400여명의 인력을 투입해 현장의 안전상황을 점검하고 있는데 이번 사고가 일어났다.
경찰조사 결과 원청의 안전관리 미흡이 주된 사고 원인으로 지목된다면 GS건설이 본보기로 국토교통부의 강한 제재를 받을 수 있는 셈이다.
이른바 ‘김용균법’으로 불리는 산업안전보건법 전부개정안이 2018년 말 국회를 통과한 뒤 하청업체 노동자 사망사고가 일어난 점도 임 사장에게 부담이다.
산업안전보건법 전부개정안은 산업재해 예방을 강화하기 위해 원청의 법적 책임을 높이는 내용을 담고 있는데 충남 태안 화력발전소에서 홀로 일하다 사망한 고 김용균씨 사고를 계기로 2018년 말 어렵사리 국회 문턱을 넘었다.
산업안전보건법 전부 개정안이 2020년부터 본격 시행되는 만큼 이번 사고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하지만 법안이 통과된 만큼 GS건설을 향한 비판에 힘이 실릴 수 있다.
정치권에서는 이미 이번 사고를 원청의 안전불감증에 따른 전형적 인재로 규정하고 GS건설의 책임을 묻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정미 정의당 대표는 19일 보도자료를 내고 “GS건설 현장 사망사고는 기본적 설비부실에 따른 후진적 재해”라며 “원청인 GS건설의 책임자 구속과 관련자 엄벌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GS건설은 2016년부터 2018년까지 노동자 13명이 사망하는 등 산업재해에 따른 사망사고가 매년 반복되고 있다”며 “원청의 설비 부실, 안전설비 부재 등과 관련한 책임을 엄중히 물어야만 산재 사망사고의 반복을 막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임병용 사장은 건설업계 최장수 전문경영인(CEO)으로 22일 정기 주주총회에서 두번째 연임에 성공할 것이 확실시된다. 안전과 관련한 사회적 경각심이 높아진 상황에서 앞으로 3년 동안 GS건설을 더 이끌게 되는 만큼 건설현장의 안전사고를 막기 위한 강도 높은 대책을 마련한 필요가 있는 셈이다.
GS건설 관계자는 “현재 사고대책본부를 구성하고 우선적으로 사고 수습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앞으로 진행될 사고 조사에도 성실히 협조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한재 기자]
Gs 건설은 중도금 잔금 다 납부해도 아파트 열쇠를 안 주더군요 직원이 절 비하하는 발언을 하고 비꼬으며 고래고래 소리를 지르고 짜증내고 난리를 부려도 옆에 있던 3명의 gs 건설 직원은 다 가만히 있고 부동산 소장님께는 수수료 받고 일한다며 비하하고 이런 일 처음 하시쟎아요 비하하고 GS건설은 열쇠는 세입자에게만 준답니다.
미리 공지도 안해서 새벽부터 기차타고 지방에서 서울까지 갔는데 열쇠도 못받고 내 집을 둘 (2019-03-21 10:50: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