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과 미국의 두 번째 정상회담을 앞두고 철도 관련 기업이 수혜를 입을 것이란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북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북한에 가해진 경제제재가 해제되거나 완화되면 첫 번째 경제협력사업으로 꼽히는 남북 철도 연결도 탄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왼쪽)과 조명균 통일부 장관. |
11일 정치권과 증권업계에 따르면 북한을 향한 경제제재 때문에 더디게 진행된 남북 철도 연결이 북미 정상회담 뒤 빠르게 진전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통일부와 국토교통부는 북한의 철도사업 규모가 클 뿐만 아니라 철도 연결의 경제효과도 높을 것으로 예상돼 남북 철도 연결에 공을 들이고 있다.
통일부 관계자는 “남북 도로 연결사업을 위한 공동조사를 놓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제재 면제를 승인하는 등 남북 경제협력을 위한 여건들이 마련되고 있다”며 "북미 관계가 진전되면 남북 철도 연결사업도 크게 진척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말했다.
국토부 관계자도 "철도 연결사업을 시작할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증권업계는 남북 철도 연결, 북한 지역의 철도 개·보수, 북한 철도 현대화로 이뤄지는 일련의 사업 규모가 114조 원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장도성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남북 철도 연결에 따른 수혜기업으로 선로 인프라 관련 기업인 현대건설과 대우건설, SK건설, 차량 관련 기업인 현대로템과 다원시스 등을 꼽았다.
철도 시스템 관련 기업 가운데 대아이티아이, 에스트래픽, LS산전 등도 수혜를 입을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2018년 11월 국토부와 통일부 등은 북한의 철도시설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북한 지역에서 남북 공동조사를 실시했다. 김현미 국토부 장관은 1월 폴란드 바르샤바의 국제철도협력기구(OSJD) 위원회를 방문해 남북 철도 협력방안을 국제적으로 논의하기도 했다.
하지만 지금껏 남북 철도 연결의 실질적 성과는 미흡했다는 지적도 있다. 국제사회의 북한을 향한 경제제재 때문에 북한 철도의 실태 파악조차도 제한이 많았다.
김현미 장관은 9일 게시된 노무현재단 유튜브 채널 ‘알릴레오’에서 “북한 경제제재로 남북 공동 철도조사 때 IT(정보기술) 장비도 반입할 수 없어 초보적 수준의 조사만 했다”며 “교량과 터널 등의 정밀조사를 다시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27~28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릴 2차 북미 정상회담에서 북한이 비핵화 조치를 약속하고 미국이 상응조치로 경제제재를 해제하면 남북 철도 연결이 실질적 진전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문정희 KB증권 연구원은 “남북 철도 연결과 함께 개성공단 재가동, 금강산 관광 등이 동시에 진척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미 대화에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이 대선 준비에 나설 시점이 됐다는 것은 남북 철도 연결 등 경제협력에 긍정적일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남북 경제협력 기대감을 두고 신중해야 한다는 반론도 제기된다.
북한과 미국이 완전한 비핵화에 관해 이견을 보일 수 있으며 경제제재 해체가 전적으로 이뤄지기보다 점진적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도 일부 외신에서 나온다.
미국 민주당 등 정치권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대북정책에 의구심을 나타내고 있는 것도 남북 경제협력에 부정적 요소로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비즈니스포스트 류근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