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Is 인물검색

김상우

듀켐바이오대표이사

금융ㆍ컨설팅ㆍ미디어ㆍ바이오 폭넓은 경험, 치매진단제 캐파 확충 주력 [2025년]

노태문

삼성전자대표이사 사장

DX부문장 직대로 빠른 조직 안정화 기여, '이재용의 남자' 별명도 [2025년]

조재민

신한자산운용대표이사 사장

운용사 대표만 20년 '직업이 사장', KB에서 신한으로 옮겨 [2025년]

곽달원

HK이노엔대표이사 사장

자체 개발 신약 '케이캡' 글로벌 확장 진두지휘, 연매출 1조 돌파 바라봐 [2025년]

곽희필

ABL생명대표

20년 경력 축적한 '보험영업 전문가', 우리금융 시너지 창출·수익성 강화 과제 [2025년]

김창한

크래프톤대표이사

'노력하는 천재' 게임 개발자, 배틀그라운드 단일 게임 의존 탈피 공들여 [2025년]

김영식

SK에코플랜트사장 내정자

SK하이닉스 HBM 성공신화 이끌어, SK에코플랜트 반도체 종합기업 탈바꿈 과제 [2025년]

홍영호

LS머티리얼즈대표이사

LS그룹 30년 금속·소재 전문가, UC·전기차 부품으로 새동력 확보 주력 [2025년]

한현옥

클리오대표이사

북미 중심 글로벌 시장 공략 본격화, 주가 및 실적 회복 과제로 [2025년]

성대규

동양생명대표이사 사장

관료 출신 26년 경력의 보험전문가, ABL생명 통합 후작업 힘써 [2025년] 

조덕수

알에프에이치아이씨대표이사

질화갈륨 반도체 기술개발 선도, '방산' 집중 'RF에너지' 육성 나서[2025]

정은경

대한민국보건복지부 장관

'코로나 파수꾼'으로 국민 스타, 이재명 정부 의료개혁 과제 떠맡아 [2025년]

김태우

하나자산운용대표이사 사장

'스타 펀드매니저' 출신 자산운용 전문가, 초대 대표로 영입 20년 만에 하나금융 복귀 [2025년]

이수완

덕산테코피아대표이사

글로벌 전자화학 소재기업 도약 비전, 재무·거버넌스 리스크 부담 [2025년]

윤병석

SK가스대표이사 사장

사내외 에너지분야 두루 경험, 3연임 발판 신사업 안정화 주력 [2025년]

김성환

한국투자증권 대표이사 사장

'아시아의 골드만삭스' 꿈꾸는 IB전문가, 국내 첫 종합투자계좌 사업자 도약 [2025년]

엄인섭

티엑스알로보틱스대표이사

한진·삼성SDS 출신 공장자동화 전문가, 지능형 자동화로 산업현장 혁신 주력 [2025년]

유재기

현대에버다임대표이사 전무

1300억 규모 이라크 계약 따내며 주목받아, 경영 전반·해외진출 업무 동시 주도 [2025년]

안승욱

티로보틱스대표이사

국내 최초 반도체·디스플레이 진공로봇업체 창업, 인간지원로봇 개발에 집중 [2025년]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통상교섭본부장

3년 만에 귀환한 통상전문가, 한미 관세협상에서 맹활약 [2025년]

김상우
듀켐바이오대표이사
1972년 7월 (양력)

금융ㆍ컨설팅ㆍ미디어ㆍ바이오 폭넓은 경험, 치매진단제 캐파 확충 주력 [2025년]


김상우는 듀켐바이오의 대표이사다.

방사성의약품 수요 급증에 발맞춰 생산능력 확충에 주력하고 있다.

1972년 7월 태어났다.

연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JP모건을 거쳐모니터그룹과 소프트뱅크 엔플랫폼에서 컨설턴트로 근무했다.

삼표에서 영업과 경영기획관리 업무를 담당했고 한국투자증권에서 국제부장과 홍콩법인장을 맡았다.

2013년 KD미디어와 예스숍(Yesshop)의 대표이사에 선임됐다.

듀켐바이오에 부사장으로 합류해 2023년 대표이사에 선임된 뒤방사성의약품 연구개발 회사인 라디오디앤에스랩스 인수를 주도했다.

◆ 경영활동의 공과



김상우 듀켐바이오 대표이사(가운데)가 2024년 12월20일 듀켐바이오 코스닥 시장 신규 상장기념식에서 상장기념패를 들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국거래소>


△듀켐바이오의 사업구도
듀켐바이오는 국내 최대규모 의약품 유통사인 ‘지오영’의 자회사다.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 장비용 방사성의약품을 만드는 회사다. 국내 알츠하이머성 치매진단제 시장 점유율 90%를 차지하고 있다.

듀켐바이오는 강원대학교, 한양대학교병원, 가톨릭의대 인천성모병원, 을지의대 대전을지병원 등 국내 12개 대형병원에 제조소를 두고 방사성의약품을 생산·판매하고 있다. 2025년 현재 이 중 6곳은 GMP(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인증을 획득했으며 나머지 6곳은 휴업 중이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