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신재생에너지정책의 초점을 ‘탈원전’에서 산업 생태계의 조성으로 돌리고 있다.
21일 정치권에 따르면 성 장관은 초기 시장을 확보를 위한 실증사업과 대규모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등 신재생에너지산업의 인프라 쌓기에 중점을 둔 종합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부 국정감사에서 의원들의 질문에 대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
산업부가 그동안 신재생에너지의 보급률 높이기에 급급해 전력 수급과 고용 등에 미칠 경제적 영향을 비교적 묵과해 왔다는 지적을 감안해 인프라 구축을 강조하는 것으로 보인다.
니키 딘 네이처에너지 편집장은 최근 에너지 전환 콘퍼런스에서 “신재생에너지가 세계적으로 각광받고 있는 것은 태양광발전과 풍력발전의 경제성이 획기적으로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라며 “에너지 혁신의 핵심은 어디까지나 (경제성을 위한) 과학기술”이라고 말했다.
당시 정승일 산업부 차관은 “정부가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을 늘리는 일에 집중해 왔지만 앞으로는 산업의 관점에서 제도와 시장의 기반을 쌓아 혁신성장을 이끌겠다”고 말했다.
성 장관도 국정감사 답변에서 “재생에너지의 보급 확대를 계기로 제조와 서비스를 늘리고 연관 산업도 성장할 수 있도록 산업 생태계의 강화방안을 내놓겠다”고 말했다.
성 장관은 신재생에너지산업의 생태계 조성과 관련해 관련 규제를 개편하고 원천 기술의 연구개발과 연관 산업의 육성 등을 함께 추진하기로 했다.
예컨대 산업부는 관계 부처와 협업해 올해 안에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내놓는다. 신재생에너지로 각광받는 수소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인력 양성과 연구개발 등 세부사항을 담는다.
지방자치단체에 인센티브를 부여해 풍력발전과 태양광발전 등을 가로막는 입지 규제의 완화를 유도하기로 했다. 지자체 주도로 신재생에너지에 관련된 대규모 부지를 조성하는 ‘계획입지’ 제도를 도입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법 개정을 추진하는 등 관련 법안도 정비하기로 했다.
신재생에너지와 가깝게 연관된 자동차, 건자재, 빅데이터,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을 함께 육성해 기존 산업의 성장성도 높이고 ‘규모의 경제’ 효과를 얻을 방침을 세웠다.
성 장관이 문재인 대통령의 유럽 방문에 동행해 유럽연합(EU)과 투자협력 방향 가운데 하나로 신재생에너지분야의 협력 강화를 제시하는 등 해외 진출도 장기적으로 준비하고 있다.
성 장관은 24시간 내내 발전할 수 없는 신재생에너지의 단점을 보완할 방법으로 에너지의 생산과 소비구조를 바꿔가는 과정에서 에너지 효율을 더욱 끌어올릴 계획도 세웠다.
그는 최근 한 콘퍼런스에서 “에너지저장장치와 가상발전소, 파워투가스(P2G) 기술 등이 성장할 가능성을 주목하고 있다”며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한 에너지저장장치는 해외시장의 개척을 촉진하고 가상발전소와 파워투가스 등에서도 원천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가상발전소는 사물인터넷 기술로 분산된 에너지원을 모아 단일 발전소처럼 운영하는 것을 말한다. 파워투가스는 쓰고 남은 재생에너지 전력을 수소나 메탄으로 바꿔 수소차와 도시가스 등에 활용하는 기술을 뜻한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