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2020년 1월7일 상하이 공장에서 열린 모델3 출시 행사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
[비즈니스포스트] 중국 당국이 테슬라 완전자율주행(FSD, Full Self-Driving) 기능의 출시 승인을 늦추는 이유는 미국과 무역협상 카드로 쓰기 위함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17일(현지시각) 파이낸셜타임스는 상황을 잘 아는 취재원 발언을 인용해 “테슬라는 올해 2분기 중 FSD 승인을 기대하지만 중국 당국은 아직 일정을 확정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테슬라가 미국과 유럽 등 주요 시장에 출시한 FSD는 자율주행 기술을 기반으로 한 주행보조 기능이다. 현재 중국에도 정식 출시가 추진되고 있다.
중국은 외국 기업이 주행 데이터를 해외로 반출하는 일을 제한하기 위해 자율주행 학습 및 서비스 출시에 당국의 승인을 의무화했다.
테슬라가 지난해 6월 상하이 일부 지역에서 FSD 시험 주행 승인을 획득한 만큼 이른 시일에 중국 전역으로 이를 확대할 수 있다는 전망이 힘을 얻었다.
그러나 중국 당국에서는 아직까지도 승인 일정을 구체적으로 정하지 않았다는 발언이 나온 것이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중국의 테슬라 FSD 허가가 지연된 핵심 이유는 테슬라를 미국과 무역 분쟁에 협상 수단으로 사용하려 하기 때문”이라는 취재원 발언을 전했다.
테슬라는 중국에서 판매된 차량에 FSD 기능을 유료로 제공해 추가 수익원을 확보하겠다는 구상을 두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미국과 중국이 무역 분쟁에 합의점을 찾으면 테슬라도 FSD 승인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며 “그렇지 않다면 이른 시일에 허가를 받기는 어려울 수 있다”고 전했다. 이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