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과산업  항공·물류

티웨이항공 잦은 운항지연 구조적 문제점 노출, 서유럽 노선 취항 커지는 우려

신재희 기자 JaeheeShin@businesspost.co.kr 2024-06-14 16:56:55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비즈니스포스트] ‘34.8%. 2024년 1분기 티웨이항공의 국제선 지연율이다. 전체 평균 22.5%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티웨이항공의 잦은 운항지연으로 소비자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이를 반영한듯 국토교통부의 ‘2023 항공운송서비스 평가’에서 티웨이항공의 이용자 만족도 점수는 5.65점으로 국내 항공사 10곳 중 9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티웨이항공 잦은 운항지연 구조적 문제점 노출, 서유럽 노선 취항 커지는 우려
▲ 티웨이항공의 최근 운항지연은 최근 높아진 기재가동률이 영향을 미쳤다는 의견이 나온다.

문제는 티웨이항공은 하반기 서유럽 노선 4곳의 취항을 앞두고 있다는 점이다.

대형항공사(FCS)와 장거리 노선에서 경쟁을 앞두고 서비스 품질에 대한 고객들의 인식이 여느때보다 중요한 상황이다.

14일 티웨이항공에서 최근 장시간 운항지연 사태가 나타나는 원인으로 저비용항공사 특유의 ‘빽빽한 기재운용’ 기조가 거론된다.

티웨이항공은 13일에만 태국 방콕(청주행)과 인천(오사카행) 등 2곳에서 운항지연이 일어났다. 두 사례 모두 기체결함이 원인이었다. 

특히 인천에서 일어난 운항지연에서는 승객들이 11시간동안 기내에서 발이 묶여 티웨이항공의 대처에 승객들의 불만이 쏟아지고 있다.

결함이 발견된 기체는 같은 날 인천-자그레브 노선에 투입될 예정이었지만 인천-오사카 노선에 투입되는 것으로 변경됐다.

티웨이항공 관계자는 비즈니스포스트와 통화에서 “안전운항을 위해 지연조치를 내려 고객들의 불편을 초래한 점에 대해 죄송하다”며 “유관부서와 협의해 피해고객 보상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두 지연 사례 모두 최근 저비용항공사들의 항공기 가동율이 높아진 것이 영향을 미쳤다는 시선이 나온다. 기재를 빈틈없이 돌리면서 대체 항공기를 투입할 여력이 감소하고 피로가 누적됐다는 것이다.

실제로 티웨이항공의 1분기 국제선 기재가동률은 57.8%로 2023년 1분기 44.8%와 비교해 13.0%포인트, 2023년 연 평균 50.4%보다 7.4%포인트 높아졌다. 
 
티웨이항공 잦은 운항지연 구조적 문제점 노출, 서유럽 노선 취항 커지는 우려
▲ 티웨이항공의 서유럽 4개 도시 취항은 유럽연합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기업결합을 승인하기 위한 조건이다. 

항공업계의 한 관계자는 비즈니스포스트와 통화에서 “해외에서 일어난 운항지연은 부품 조달이나 대체편 이동 등으로 해결에 긴 시간이 걸릴 수 있다”며 “여유기재가 있는 항공사였다면 국내공항에서 대체편 투입없이 11시간동안 승객들을 기다리게 했겠느냐”고 말했다.

티웨이항공은 하반기 서유럽 4개 도시 취항 앞두고 있어 운항지연으로 입방아에 오르는 것이 달갑지 않다. 장거리 노선에 첫 발을 내딛는 만큼 소비자의 서비스 품질 인식이 유럽노선 사업 안착 시기를 판가름할 것으로 예상돼기 때문이다.

증권업계의 전망을 종합한다면 티웨이항공이 서유럽 노선에 안착 시 연간 기대매출은 4천억~4500억 원에 이른다. 티웨이항공의 2023년도 매출 1조3488억 원의 33.4%에 이르는 수준이다.

티웨이항공의 서유럽 4개 노선 취항은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인수합병을 위한 선결조건이다. 유럽연합은 두 항공사의 통합으로 일부 노선에서 발생할 독과점을 완화할 시정조치를 요구했고 이에 대체 진입항공사로 티웨이항공이 낙점됐다.

티웨이항공은 대한항공으로부터 A330-200 기체 5대와 운용인력들을 이관받아 서유럽 노선에 투입할 예정이다. 

또다른 항공업계의 관계자는 “한국-유럽노선은 유럽국적사는 물론 가격경쟁력을 앞세워 환승경유편을 제공하는 중동항공사와도 경쟁해야 한다”며 “저비용항공사의 가격경쟁력이 차별화 요소로 부각되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고 봤다. 신재희 기자

인기기사

유진투자 “가스공사 목표주가 상향, 대왕고래 기대감 연말까지 지속” 이상호 기자
KB증권 "체코 원전 수주는 유럽 원전 진출 발판, 한전기술·한전KPS 수혜" 김홍준 기자
유럽연합 중국산 전기차 관세 철회하나,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딜레마 커져 김용원 기자
일본 라피더스 내년 2나노 반도체 시범생산, "TSMC 추격 가능" 자신감 보여 김용원 기자
회장 100일 갓 넘은 정용진의 수시 인사, 신세계그룹에 '득'일까 '실'일까 남희헌 기자
포스코 아르헨티나 리튬 공장서 염산 유출 사고, 600여 근로자 대피 김호현 기자
HD현대미포 LNG 추진 컨테이너선 프랑스 해운사에 인도, 주문 10척 중 4번째 김호현 기자
“중국 LFP 배터리가 삼원계보다 환경친화적” 주장 나와, 니켈 코발트 채굴 과정 환경.. 이근호 기자
LG디스플레이 내년 흑자전환 노려, 정철동 차량용 올레드로 ‘실적반등’ 가속 김바램 기자
애플 비전프로 차기작 포기하나, 삼성 LG '올레도스' 디스플레이 전망 불투명 김용원 기자

댓글 (3)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
팩폭맨
크로아티아 승객들 보상해주려니 돈 많이들고 만만한 오사카 승객들 희생시켰구만ㅋㅋ

예비기도 없고 대한항공이나 아시아나처럼 국제 얼라이언스도 없고 갑자기 다른항공사 오사카행 비행기에 태워보내려니 돈은 많이들고 끝까지 억지로 수리해서 11시간 딜레이시켜서 보내고ㅋㅋ제대로 양아치짓했네. 오사카 가는데 한시간 남짓 걸리는데 11시간이라니ㅋㅋ
   (2024-06-16 15:31:53)
에헴
그래서 싸구려 항공요금으로 실어나르는 저가항공社인거야....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거져 오늘날 굵직한 한국의 대표 항공사로 자리 잡았겠니...?.
모두 그만만 능력과 노하우가 있어서야......
저가 항공사는 경험, 능력 등이 없어 장거리 비행이나, 초대형 항공기는 운영 불가능 한데도, 억지로 이를 수용하려니 이런 사고가 빈발한거야...
혹시 태평양 상공에서 비행기가 떨어진다면, 어휴 생각조차 싫어 ...ㅠㅠㅠ
   (2024-06-15 18:50:26)
Jong Yoon
스타 얼라이언스가 없어지면 세계에서 서울 가는 뱅기는 오직
스카이팀. 대한항공 뿐 인 독점 이네요.
앞으로 비행기 가격은 30% 이상 오를수 밖에 없네요.
인천 몽골 케이스 보면 아주 이해가 쉽죠.
   (2024-06-15 14:1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