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현대자동차그룹의 금융계열사인 현대카드, 현대커머셜, 현대캐피탈이 모두 올해 3분기 0%대 총 연체율을 기록해 금융권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고금리 지속에 따른 고객 상환능력 악화로 총 연체율이 ‘마의 2%’를 넘기는 곳이 나타나는 가운데
정태영 현대카드 및 현대커머셜 대표이사 부회장이 리스크 관리에 관심을 기울여 온 시간들이 빛을 발한 것으로 보인다.
▲ 정태영 현대카드 및 현대커머셜 대표이사 부회장의 보수적 리스크 관리 기조 영향으로 현대자동차그룹의 금융게열3사가 올해 3분기 0%대 연체율을 기록했다. |
24일 여전업계에 따르면 전업카드사 8곳과 자산 규모 10조 원이 넘는 주요 캐피탈사 6곳 가운데 올해 3분기 0%대 총 연체율을 기록한 회사는 현대카드, 현대커머셜, 현대캐피탈 뿐이다.
구체적으로 현대카드의 총 연체율은 0.85%, 현대커머셜은 0.65%, 현대캐피탈은 0.97%이다. 이들을 제외한 주요 여전사의 총 연체율은 최저 1.02%에서 최고 2.66%로 나타났다.
3사는 현대차그룹이 최대주주인 현대차그룹 금융계열사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각각 다른 회사다.
그럼에도 세 회사만 0%대 연체율을 유지한 배경에는 리스크 관리에 공들였던
정태영 부회장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회사들은 정 부회장이 10년 이상 이끌었던 곳이기 때문이다.
정 부회장은 현대카드와 현대캐피탈의 부사장으로 취임한 2003년이 리스크 관리 실패로 신용불량자를 대거 양산한 ‘카드대란’이 발생했던 시기였던 만큼 줄곧 리스크 관리에 신경써온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2004년은 현재 현대차그룹 금융계열사를 리스크 관리 강자로 만든 전환점으로 꼽을 수 있다.
정 부회장은 그 해 적자를 내며 기울어가던 현대캐피탈을 바로세우기 위해 미국의 GE(제너럴일렉트릭)와 손을 잡았다.
이때 현대캐피탈은 재무적 투자를 받는 데 그치지 않고 세계 최대 할부금융사였던 GE캐피탈로부터 선진 리스크 관리 기법을 배웠다. 이 과정에서 리스크 관리가 중요하다는 인식은 정 부회장 뿐만 아니라 사내에도 자리 잡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정 부회장은 2004년 이데일리와 일문일답에서 “리스크 관리에 있어 중요한 것은 기법보다는 마인드다”며 “기술적 부분은 자세히 설명하기 어렵지만 중요한 것은 리스크 관리가 상품 개발 및 운용의 한 축으로 매우 중요하다는 인식을 갖게 됐다는 것이다”고 말했다.
리스크 관리가 중요하다는 인식이 사내 전반에 퍼진 건 현대캐피탈에만 국한되는 일도 아니었다. 현대커머셜은 2007년 현대캐피탈의 산업금융 부문이 독립해 출범한 회사인 만큼 같은 문화를 공유하고 있다.
현대카드는 현대캐피탈이 선진적 리스크 관리 기법에 눈을 뜬 시점부터 정 부회장이 함께 이끌고 있던 회사다. 역시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에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 2022년 현대캐피탈이 본사를 이전하기 전까지 현대카드, 현대캐피탈, 현대커머셜은 같은 건물을 사용했다. |
3사의 구성원을 살펴봐도 정 부회장이 정착시킨 보수적 리스크 관리 기조가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현대카드와 현대커머셜은 지금도 정 부회장이 대표이사를 맡고 있는 만큼 무리한 영업보다 리스크 관리에 중점을 두고 있다.
정 부회장은 2023년 4월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기준금리가 급상승하고 경제지표들이 불안정할 때 외형 경쟁은 무모할 뿐이다”며 “우리는 돌풍을 일으키고자 하기보다는 돌풍을 피해서 참호를 파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게다가 현대커머셜은 각자대표를 역임하고 있는 장병식 현대커머셜 대표이사가 현대카드 리스크관리실장과 현대커머셜 법인리스크관리실장 등을 지낸 리스크 관리 전문가다.
현대캐피탈은 2021년 9월 정 부회장이 대표이사직을 내려놓았고 2022년 사옥을 이전하며 현대카드·현대커머셜과 분리됐다.
하지만 현재 현대캐피탈의 리스크 관리를 맡고 있는 백연웅 리스크본부장이 2018년부터 현대캐피탈과 현대커머셜을 두루 거친 만큼 보수적 리스크 관리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조혜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