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롯데바이오로직스는 2일 스톡옵션 제도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바이오 인재를 모집하는 데 효과적인 유인책으로 작용할지 주목된다. |
[비즈니스포스트]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기업 롯데바이오로직스가 롯데그룹 최초로 스톡옵션(주식매수선택권) 제도를 꺼내들었다.
새로운 사업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해당 분야에 숙련된 인재가 필수다. 뒤늦게 시장에 진입한 기업일수록 더욱 인재 영입이 중요하다. CDMO 후발주자인 롯데바이오로직스가 우수한 인력에게 '당근'을 내미는 까닭이다.
2일 롯데바이오로직스는 모든 임직원을 대상으로 주식매수선택권 제도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롯데그룹에서 상장 전 임직원에게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고위급 임원 1~2명이 아니라 전체 인원 중 무려 80%에게 부여한다는 점이 눈에 띈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앞으로 5년까지 매해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대상자를 새로 선정하고 이후에는 우리사주 제도를 도입하기로 했다. 향후 신규 입사자를 포함해 사실상 모든 구성원이 회사 주식을 일정량 소유하게 될 공산이 크다는 뜻이다.
이번 주식매수선택권 도입의 배경에 대해 롯데바이오로직스 측은 임직원에 대한 적정한 보상 및 동기부여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롯데바이오로직스 관계자는 "사업 초기 급성장과 함께 육성될 현재의 직원들은 미래의 롯데바이오로직스의 주축이 될 것이다"며 "인수합병, 사업모델 구축 등 회사 내 다양한 경험을 통해 향후 국내 바이오 인적자원 시장에서도 가치 있는 인재로 성장할 것이다"고 말했다.
다만 그 이면에는 점차 치열해지는 바이오 인력 확보 경쟁을 수월하게 풀어나가려는 의도도 있는 것으로 읽힌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롯데그룹이 지난해 출범시킨 바이오의약품 CDMO기업이다. 최근 제약사 브리스톨마이어스스큅(BMS)의 미국 시러큐스 바이오의약품 공장을 인수하며 본격적으로 사업을 시작했다. 또 국내에서도 인천 송도를 근거지 삼아 대규모 공장 설립을 추진하는 중이다.
이 과정에서 적극적인 채용도 이뤄지고 있다. 최근 롯데그룹 채용 사이트에는 한 달이 멀다하고 롯데바이오로직스의 새로운 채용공고가 올라온다. 대부분 경력직을 찾는 내용이다.
문제는 송도에서 바이오 인재를 필요로 하는 기업이 롯데바이오로직스뿐이 아니라는 것이다. 여러 바이오 대기업이 각자 사업 규모를 키우는 동시에 우수 인력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대표적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송도에서 바이오의약품 4공장을 준공한 가운데 차세대 생산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바이오연구소를 설립했다.
셀트리온은 송도에 지은 300명 규모 신규 연구센터 가동을 앞두고 있다. 신공장 건설도 순조롭게 진행되는 중이다.
SK바이오사이언스의 경우 연구개발을 전문으로 하는 R&PD센터를 2025년까지 준공하면서 본사까지 옮겨오기로 해 조만간 상당한 규모의 인력 수급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 중 주식매수선택권 제도를 운영하는 기업은 셀트리온과 SK바이오사이언스다. 특히 셀트리온을 보면 부장, 차장급 직원들이 주식매수선택권을 행사해 십억 원대 수익을 거둔 사례가 나오기도 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16년 코스피 상장 전 우리사주조합을 통해 임직원에게 공모가에 회사 주식을 청약하도록 해 상장에 따른 혜택을 나눠줬다. 우리사주조합은 지난해 삼성바이오로직스의 3조2천억 원 규모 유상증자에도 참여했다.
비교적 늦게 바이오산업에 뛰어든 롯데바이오로직스로서는 인재 확보를 위해 강력한 유인책을 꺼내들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주식매수선택권은 회사의 주식을 미리 정해진 가격에 매수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통상 사업 초기 낮은 행사가격으로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은 임직원이 상장 후 주가 상승을 통해 차익을 보는 경우가 많다.
롯데바이오로직스가 상장 계획을 분명히 한 만큼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을 바라는 인재들은 이번 주식매수선택권 제도 도입을 계기로 롯데바이오로직스에 긍정적인 시선을 줄 것으로 보인다.
이원직 롯데바이오로직스 대표이사는 지난해 10월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모든 것이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향후 5~7년 안에 기업공개를 추진할 수 있을 것이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해 12월 다른 임직원 7명과 함께 정식 제도 도입에 앞서 미리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기도 했다. 임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