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정치·사회  사회

법원 "호남고속철 담합 건설사 24곳은 철도공단에 679억 배상해야"

김지효 기자 kjihyo@businesspost.co.kr 2021-05-31 18:44:06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호남고속철도 건설공사 입찰에서 담합한 건설사들이 국가철도공단에 배상해야 한다는 법원의 판결이 나왔다.

31일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16부(임기환 부장판사)는 국가철도공단이 롯데건설 두산건설 포스코건설 등 24개 건설사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소송에서 "피고들은 공동해 679억여 원을 지급하라"며 원고 일부 승소로 판결했다.
 
법원 "호남고속철 담합 건설사 24곳은 철도공단에 679억 배상해야"
▲ 호남고속철도 오송고가. <국가철도공단>

일부 건설사를 대상으로 한 배상청구는 소송이 제기된 뒤 회생절차가 시작돼 각하됐다.

2009년 호남고속철도 건설공사 입찰에 참가한 28개 건설사들은 전체 19개 공구 가운데 최저가낙찰제로 발주된 13개 공구를 담합해 낙찰받기로 협의한 것으로 드러났다.

호남고속철도 건설공사는 길이 184.5㎞의 철도망을 구축하는 공사로 사업비가 8조3500억 원에 이르는 대규모 국책사업이다.

담합에는 현대건설 대우건설 SK건설 GS건설 삼성물산 대림산업 현대산업개발 등 대형건설사도 참여했다. 

담합에 참여한 건설사들은 공구별로 낙찰 예정자를 정하고 나머지는 들러리를 서주기로 합의한 뒤 실행에 옮긴 것으로 파악됐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이들의 담합행위를 적발해 2014년 시정명령과 과징금 4355억 원을 부과했다. 일부 건설사들은 공정위 제재에 반발해 소송을 제기했지만 대부분 패소해 과징금을 납부했다.

국가철도공단은 이후 2015년 담합 건설사들을 상대로 손해배상소송을 냈다.

법원은 재판 도중 화해 권고 결정으로 소송이 마무리되거나 회생절차를 밟은 일부 회사를 제외한 건설사들의 배상책임을 인정했다.

일부 중소건설사들은 형식적 입찰에 참여해달라는 요청을 받았을 뿐이라며 배상액이 과도하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재판부는 "담합행위 가공 정도가 경미하더라도 책임범위를 제한해 인정할 수 없다"며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지효 기자]

최신기사

신한투자 "이마트, 드디어 맞춰진 마지막 퍼즐 조각"
신한투자 "현대백화점, 업종 내 가장 편안한 선택지가 될 것"
대신증권 "현대백화점, 변하는 산업 환경에 맞춰 동대문 면세점 철수"
[오늘의 주목주] '2차전지주 약세' LG화학 4%대 내려, 코스닥 에이비엘바이오 10..
챗GPT '지브리 그림체 열풍' 수혜자는 마이크로소프트, 오픈AI 기여도 커져
에어프레미아 실적 개선에 몸값 높아진다, 인수 노리는 대명소노그룹 자금 부담 더 커질 듯
[2일 오!정말] 정성호 "윤석열 탄핵결과 승복해야", 권영세 "민주당 승복하겠다고 안해"
4억 쥔 딸이 아빠에게 15억 아파트 산 사연, 정부 조사로 나타난 이상거래 백태 
비트코인 1억2498만 원대 상승, 전문가 "관세 불확실성 장기적으로 오히려 유리"
한덕수 "헌재의 어떤 결정도 받아들여야" "시설파괴나 폭행·방화는 무관용"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