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윤호 기자 uknow@businesspost.co.kr2021-01-24 08:30:00
확대축소
공유하기
글로벌 대기업이 스타트업과 손을 잡는 흐름에 맞춰 스타트업과 대기업을 연결해 주는 개방형 혁신플랫폼을 도입해 효율성과 공평성을 갖춰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권칠승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가 박영선 전 장관의 '프로토콜경제'를 이어받아 개방형 혁신플랫폼을 도입할지 주목된다.
▲ 권칠승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
24일 중소벤처기업부 안팎의 말을 종합하면 권칠승 장관 후보자는 박영선 전임 장관이 추진하던 프로토콜경제정책을 이어받아 국내 중소기업과 글로벌 대기업을 연결해주는 '중간다리' 역할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이에 앞서 박 전 장관은 2020년 12월30일 내놓은 신년사를 통해 “2021년에는 플랫폼경제의 독점과 불평등을 보완할 프로토콜경제를 정책에 반영해 ‘더불어 잘사는 공정경제’가 국민들의 삶에 정착할 수 있게 하겠다”고 말했다.
프로토콜은 블록체인 참여자 사이의 연결규약을 말한다.
블록체인 참여자들 사이에 모든 정보를 공유하고 프로토콜을 미리 약속해 참여자가 상호작용하는 방법, 기술 데이터 전송 방식, 기술 데이터 검증의 필요조건 등을 정하는 것이다.
중기부는 지난 5일 2021년 정부의 창업지원사업을 통합 공고했다. 모두 1조5179억 원을 지원하며 그 가운데 중기부는 40개 사업에 1조2330억 원(81.2%)의 금액을 지원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중기부는 올해 신규 사업으로 '비대면 스타트업 육성'과 '글로벌기업 협업 프로그램 지원'을 편성했다. 기존에 혁신 스타트업 창업과 육성에 지원하던 약 1조 원 규모의 지원 금액에 더해 신규 사업에는 각각 300억 원을 추가했다.
다만 글로벌기업 협업 프로그램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권 후보가 장관에 취임한 뒤 '개방형 혁신플렛폼' 도입도 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최근 글로벌 대기업들은 앞다퉈 스타트업과 적극적으로 연계하는 데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이를 위한 개방형 혁신 전담팀을 마련해 운영하고 일도 흔하다.
이처럼 글로벌 대기업들이 스타트업과 연계를 강화하는 것은 ‘최신기술의 도입과 활용’이 절실하기 때문이다. 예전에는 자체 기술 개발에 주력했다. 하지만 이제는 외부의 연구 및 개발 성과를 끌어들여 키우는 '개방형 혁신' 방식의 효율성이 큰 주목을 끌고 있다. 이를 위해 과감한 인센티브와 전문 중개기관 활용, 유연한 인사제도 등 다양한 수단을 활용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가 2019년 내놓은 ‘글로벌 대기업과 스타트업의 개방형 혁신 현황 및 시사점’을 보면 한국은 아직 폐쇄형 혁신구조가 많으며 개방형 혁신으로 전환이 시급하다.
한국무역협회는 개방형 혁신 전환의 방안으로 스타트업 및 대기업이 개방형 혁신 과제를 상시적으로 공유하면서 함께 해결방법을 모색할 개방형 혁신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개방형 혁신 플랫폼을 구축하면 이를 통해 국내 대기업은 자사 단독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과제를 공개하고 국내외 스타트업 및 해외 대기업이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국내 스타트업이 자체 기술과 솔루션을 홍보하고 글로벌 대기업과 국내 대기업 또는 다른 스타트업이 혁신 연계를 문의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개방형 플랫폼에서 과제를 공유한 뒤 모인 스타트업과 대기업들이 폐쇄형 프로토콜을 구성해 각자 정보를 구성하는 방식, 그 이용방법, 사업화 이후 이익배분 까지 프로토콜 규약을 미리 정한다면 보안문제와 수익문제 등도 해결할 수 있다.
무역협회 관계자는 "중기부는 국내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데다가 프로토콜경제를 2021년 새롭게 추진할 정책방향으로 정해 개방형 혁신플랫폼을 구성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며 "개방형 혁신플랫폼이 생기면 스타트업들도 직면한 과제를 혼자 풀어갈 게 아니라 다른 스타트업들과 함께 풀어갈 터전이 생긴다"고 말했다.
중기부가 개방형 혁신플랫폼과 프로토콜경제를 도입한다면 기업 과제를 빠르게 해결할 효율성과 이익 분배 해결의 공평성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는 제안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윤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