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가시화하면서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2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어떤 선택을 할지 주목된다.
한국은행은 10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
|
|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
12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가 동결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한국금융투자협회가 11월 25일부터 12월 1일까지 채권 관련 종사자 백여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2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가 동결될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95.3%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8월과 10월, 올해 3월과 6월 각각 0.25%포인트씩 기준금리를 인하해 1.5%까지 낮췄고 그 뒤 11월까지 5개월 연속 금리를 동결했다.
한국은행이 미국의 금리인상에 앞서 선제적으로 금리를 올리기 힘들다고 전문가들은 본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기준금리가 인상될 경우 대출을 받은 가계와 기업의 이자부담이 커진다”며 “소득은 늘어나지 않는 상황에 이자 상환비용이 늘어나면 소비를 줄이게 돼 내수경기를 위축시킬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10월 말 기준으로 국내은행의 원화대출채권 잔액은 1340조6천억 원으로 집계됐다. 9월보다 19조2천억 원(1.5%) 증가한 것이다.
가계와 기업의 부채가 급증하게 되면 금리인하 카드를 빼들기도 쉽지 않다.
이정범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현행 기준금리 하에서도 부채가 크게 증가하고 있어 금융안정 측면에서 추가 금리인하는 쉽지 않은 선택”이라고 말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하를 선택할 명분도 마땅치 않다. 하반기 들어 경기 지표들이 완만히 개선되고 있기 때문이다.
3분기 우리나라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2분기보다 1.3% 증가했다. 2010년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이 1.7% 증가한 이후 최고치이며 지난해 1분기 이후 6분기 만에 0% 성장률에서 벗어난 것이다.
11월 소비자심리지수(106) 역시 5개월 연속 개선세를 보이며 지난해 9월(107) 이후 최고수준을 기록했다.
김성태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원은 “현재 국내경기는 내수를 중심으로 나아지고 있지만 여러 불확실성이 남아 있는 상황”이라며 “통화정책은 완화 기조를 유지하되 현재 상황에서 추가 부양을 하는 것은 무리”라고 진단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백설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