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보증기금이 해외거점을 통해 현지에 진출한 중소기업 지원을 뒷받침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이 활성화되고 있는 데다 기술보증기금과 해외보증기관의 상호협력도 강화되고 있는 점을 염두에 뒀다.
2일 기술보증기금에 따르면 9월경 결과가 나오는 ‘기금 해외거점 설치를 통한 혁신기업 해외진출 지원방안’ 연구용역을 통해 해외 거점의 마련 여부를 살펴볼 채비를 갖추고 있다.
기술보증기금이 중소기업과 벤처기업의 종합지원기관으로 바뀌는 과정에서 해외거점 설치 등을 통해 국제적 역할을 강화해야 할 필요성을 따져보는 것이다.
기술보증기금은 담보능력이 부족한 기업의 기술을 평가해 기술보증서를 내주는 방식으로 중소기업 등이 금융기관의 대출을 받을 수 있도록 보증하는 업무를 주로 수행해 왔다.
최근 들어 보증연계투자와 기업 경영·기술지도, 기업의 기술이전과 사업화지원 등 기업지원 전반으로 업무범위를 넓히고 있다.
특히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이 늘어나면서 현지에서 보증이나 자문 등의 지원을 필요로 하는 기업 수도 증가하고 있다.
한국수출입은행에 따르면 해외에 직접 투자하는 중소기업 수는 2019년 기준 2056곳으로 집계됐다. 2017년 1834곳에서 200곳 이상 늘어났다.
이에 대응해 기술보증기금도 대만과 태국 등의 보증기관과 ‘상호보증’ 협약을 체결해 상대 국가에서 사업을 하는 중소기업의 보증을 서로 지원해 왔다.
이런 방식으로 해외 관련 업무가 늘어나면서 기술보증기금이 해외에 거점을 둬야 할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기술보증기금 관계자는 “그동안 해외 진출 중소기업을 보증상품 중심으로 지원해 왔다”며 “최근 해외 현지에서 지원 요청이 늘어나고 있어 거점 설치를 검토하게 됐다”고 말했다.
기술보증기금이 해외 기술평가시장 진출을 새로운 먹거리로 바라보고 있는 점도 해외거점 설치를 검토하는 이유다.
기술보증기금은 1999년 기술평가시스템(KTRS)을 독자 개발한 이후 이를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페루, 태국, 대만, 베트남, 멕시코 등에 전수해 왔다.
유럽연합 집행위원회에서 추진하는 중소기업 대상의 기술평가모형 개발 프로젝트인 ‘이노레이트’에도 핵심 파트너로서 참여하고 있다.
다만 기술보증기금은 해외에 영업점을 직접 내기보다는 현지에 사무소를 둔 다른 공공기관과 협업해 공동거점으로 활용하는 방식에 무게를 싣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중소기업의 해외마케팅을 지원하는 공공기관을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로 일원화한 선례도 있다.
기술보증기금 관계자는 “유관기관의 해외사무실을 함께 활용해 중소기업의 해외지원을 활성화하는 방안 등을 살펴보고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