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호 LG화학 부사장과 임영호 삼성SDI 부사장이 국회 국정감사에서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 문제와 배터리의 관련성 문제를 놓고 직접적 인과관계가 아직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다는 태도를 보였다.
김 부사장과 임 부사장은 7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의 산업통상자원부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회사의 배터리가 사용된 해외 에너지저장장치에서는 화재가 없었다고 입을 모았다.
▲ 전영현 삼성SDI 대표이사 사장(왼쪽)과 김종현 LG화학 전지사업본부 사장. |
두 회사의 배터리가 사용된 에너지저장장치에서 2017년부터 26건의 화재가 발생했다. 화재가 발생한 에너지저장장치 가운데 14기에는 LG화학 배터리가, 9기에는 삼성SDI 배터리가 각각 탑재됐다.
김준호 LG화학 부사장은 14건의 화재에 모두 2017년 중국 난징 공장에서 생산한 배터리가 사용된 사실은 인정했다.
다만 그는 “2017년 중국 난징 공장에서 생산한 배터리를 탑재한 국내 에너지저장장치 사이트는 198개이며 해외에는 118개 사이트가 있다”며 “118개 해외 에너지저장장치에서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018년 생산한 에너지저장장치용 배터리에서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점을 들며 2017년 중국 난징공장에서 생산한 배터리가 공정상 결함여부가 있었는지를 살펴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김 부사장은 “2018년 생산한 배터리는 사용기간이 짧아서 (명확하게 비교하려면) 아직 더 두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2017년 생산한 배터리를 리콜하라는 정부 요청이 있었냐는 질문에 그런 사실이 없다고 답변했다.
임영호 삼성SDI 부사장도 화재가 발생한 국내 에너지저장장치와 같은 배터리를 쓴 해외 에너지저장장치에서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임 부사장은 "해외는 국내보다 낮은 전압을 쓰는 등 에너지저장장치 사용 시나리오가 국내와 다르다"며 “에너지저장장치 운영자도 외국은 전력망을 오래 운영했던 업체들이 맡지만 우리나라는 상대적으로 경험이 없는 업체들이 많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삼성SDI 배터리가 투입된 에너지저장장치 화재 9건 중 8건과 관련해 “배터리보호장치가 외부 충격에 작동해야 하는데 그 부분이 미흡했다”며 “작년 말쯤에 관련 장비를 전부 교체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국정감사에서는 산업부가 꾸린 민관합동 사고조사위원회의 조사가 미흡해 6월 조사 발표 이후에도 추가 화재사고가 발생했다는 비판도 있었다.
김규환 자유한국당 의원은 “정부가 배터리 제조사의 눈치를 보느라 사고조사를 맹탕으로 했다”며 “원인을 밝혀야 하는데 사고 유형만 밝히는데 그쳐 오히려 업계에 혼란만 줬다”고 비판했다.
이철규 자유한국당 의원은 “국과수 쪽에서는 에너지저장장치 화재원인을 배터리에 있다고 본 반면 정작 조사위는 배터리 결함만 언급하는데 그쳤다”며 “조사위 자체가 객관적이지 않은것 같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화재사고가 연이어 발생한 이후에도 에너지저장장치의 관리가 여전히 허술하다는 지적도 있었다.
김삼화 바른미래당 의원은 “전국 에너지저장장치 사업장 모두 1173개 중 안전조치를 실제 이행했거나 아예 에너지저장장치를 철거한 업체는 104개에 불과하다”고 짚었다. [비즈니스포스트 석현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