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처럼 정부가 여러 기의 원전 건설을 업계에 던져주는 시대는 국내뿐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다시 오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새로운 영역을 찾아야 한다."
정재훈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이 세계적 탈원전 흐름 속에서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는 원전 해체사업에 주목하고 있다.
▲ 정재훈 한국수력원자력 사장.
24일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이 제공하는 원전 안전운영 정보 시스템(OPIS)에 따르면 세계에서 폐로에 들어가 가동이 중지되는 원전의 수는 모두 169기에 이르며 앞으로 그 숫자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제원자력기구(IAEA) 원자로 정보 시스템을 바탕으로 2018년 11월 기준 38개 나라에서 454기의 원전이 가동되고 있는데 이 가운데 가동연수가 30년 이상인 원전은 약 280기로 파악된다.
이런 추세 때문에 세계적 컨설팅기업들은 원전 해체산업을 유망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컨설팅기업 딜로이트는 ‘세계 원전 해체 전망’ 보고서에서 원전 해체시장의 전체 규모를 440조 원으로 내다봤다.
딜로이트는 2015년부터 2029년까지를 원전 해체시장의 ‘개화기’라고 분석하며 이 기간에 원전 해체에 소요되는 예상금액을 72조 원으로 추산했다.
2030년부터 2049년은 ‘성장기’로 분류하며 185조 원이 투입될 것으로 예상했고 2050년 이후 시장이 ‘성숙기’에 접어들어 182조 원 규모의 돈이 오갈 것으로 관측했다. 이를 모두 합해 원전 해체시장 규모는 약 440조로 추정한 것이다.
정부도 원전 해체시장의 잠재력을 파악하고 문재인 대통령의 탈원전정책에 맞춰 원전 해체사업에 주목하고 있다.
정 사장은 이런 정부의 기조에 발맞춰 1월11일 ‘2019 원자력계 신년인사회’에서도 원전 해체산업에 관심을 쏟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사장은 “원전 유지·보수, 원전 해체 등 모든 분야에서 새로운 먹거리를 찾아야 한다”며 “원자력업계가 어렵지만 한수원이 맨 앞장서 원자력업계 맏형으로서 이끌겠다”고 말했다.
한국전력도 한국수력원자력이 국내 원전 사업을 총괄하는 만큼 새로운 먹거리 사업으로 떠오르는 원전 해체산업 역시 주관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수원 관계자는 “한국수력원자력은 정부의 탈원전정책에 발맞춰 원전 해체사업에도 대비하고 있다”며 “현재 원전해체연구소와 관련된 용역보고서를 발주하는 등 다양한 사업을 검토하거나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한수원이 원전 해체를 위한 기술도 상당 부분 확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원전 해체를 위한 상용화 기술은 총 58가지로 분류되는데 이 가운데 이미 41개를 보유했다”며 “2021년까지 나머지 17개 기술을 자체 개발해 확보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장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