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현대그룹에 따르면 남북한 철도 연결사업의 시작과 함께 현대그룹도 대북사업에 참여하기 위한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
남한과 북한은 11월 말 또는 12월 초 남북 철도와 도로 연결과 현대화를 위한 착공식을 연다.
현대그룹은 전력, 통신, 철도, 통천 비행장, 임진강댐, 금강산 수자원, 명승지 관광 등 북한 7개 사회간접자본(SOC)의 독점 사업권을 2030년까지 보유하고 있다.
이 독점사업권은 현대아산이 2000년 북한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와 맺은 ‘경제협력사업권에 관한 합의서’의 결과물이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1일 국회에서 진행된 대정부질문 답변에서 “현대아산과 북한 조선아태평화위원회가 체결한 합의를 무효라고 할 수 없다"며 "기간사업을 추진한다면 권리로 작용하는 것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발언에 비춰볼 때 정부가 현대아산의 권리를 인정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현대그룹은 자산 규모 2조원 대 기업으로 일각에서는 금강산 관광 외에 대북사업을 주도적으로 추진할 여력이 있느냐 하는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현대그룹이 독점 사업권을 바탕으로 다른 기업들과 합작사업을 이어나가면서 이익을 극대화할 수도 있다는 시각도 자리잡고 있다.
현대그룹 관계자는 “정부 단위에서 경제협력이 본격적으로 진행돼 민간기업이 사업에 참여할 수 있게 되면 과거 개성공단 조성 사례처럼 정부 및 다른 민간기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사업을 진행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말했다.
현대그룹은 4월27일 있었던 남북 정상의 판문점 선언 이후 10일 만에 남북 경제협력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현정은 회장은 태스크포스 구성을 놓고 “남북경협 태스크포스는 현대그룹의 핵심역량과 의지를 하나로 모은 구심점이 돼야 한다”며 “금강산·개성 관광, 개성공단은 물론 앞으로 7대 사회간접자본(SOC)사업까지 남북 경협사업 재개에 대비해 만반의 준비를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태스크포스의 위원장은 현 회장이 직접 맡고 있고 현대아산 대표와 그룹전략기획본부장이 대표위원으로 실무를 지휘하고 계열사 대표들이 자문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태스크포스는 매주 1회 정기회의를 열고 중요 이슈가 발생하면 수시로 회의를 소집하도록 하고 있다.
기업계 관계자는 “대북사업과 관련해 여전히 불확실성이 크게 존재하고 있지만 현대그룹의 대북사업 재개 의지가 현 정부의 기조와 흐름을 같이하고 있어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장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