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규연 기자 nuevacarta@businesspost.co.kr2018-09-30 08:00:00
확대축소
공유하기
지방자치단체들이 ‘수소경제 중심지’가 되기 위한 경쟁에 들어갔다.
부산광역시는 현대자동차와 손잡고 수소차 관련 인프라를 확충하고 있다. 수소경제가 비교적 활성화돼 있던 울산광역시와 광주광역시, 창원시 등도 입지 지키기에 힘쓰고 있다.
▲ 오거돈 부산광역시 시장(왼쪽)과 이원희 현대자동차 대표이사 사장이 7일 부산시청에서 진행된 수소전기차 보급 관련 업무협약(MOU) 체결식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부산시>
30일 업계에 따르면 오거돈 부산시장은 수소 관련 산업에서 비교적 후발주자라는 부산시의 약점을 현대자동차와 업무협약(MOU) 등을 통해 보완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부산시는 2017년 8월부터 수소연료전지 발전소 1곳을 가동하고 있는 점을 제외하면 수소경제와 큰 연관성이 없는 곳이다. 수소차 보조금이나 운영 중인 수소충전소도 없다.
그러나 부산시는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처음으로 현대자동차와 업무협약을 체결해 2018년 안에 수소충전소 1곳을 설립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2022년까지 수소충전소를 10곳으로 늘리고 보조금을 지급하는 수소차 수를 1천 대로 늘릴 중장기 계획도 세웠다.
오 시장은 “수소차를 제작하는 현대자동차와 선제적으로 협력해 수소차 보급을 활성화하고 충전 인프라를 늘릴 기반을 마련해 수소차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동남권 허브 도시의 위상도 확립하겠다”고 밝혔다.
지역 경제인들의 호응도도 높다. 부산상공회의소가 오 시장의 당선 직후 지역 기업인 100명에게 가장 기대하는 신산업 육성정책을 질문한 결과 응답자의 25%가 ‘수소전기차의 기술 개발과 산업 육성’을 꼽았다.
부산시가 수소경제 활성화에 속도를 내자 울산시, 광주시, 창원시 등도 기존의 수소경제 인프라를 더욱 확충하는 쪽으로 발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울산시는 국내 수소 생산량의 60%를 차지하는 등 다른 지역과 비교해 수소경제가 일찌감치 활성화된 이점을 십분 활용할 계획을 세웠다. 울산에는 현대자동차의 수소차 ‘넥쏘’ 생산공장이 있고 원유 정제 과정에서 나오는 부생수소를 활용한 ‘제1수소타운’도 2013년부터 운영하고 있다.
울산시는 자동차용 수소충전소를 현재 3곳에서 2019년 7곳으로 늘리기로 했다. 2030년까지 전체 시내버스의 40%, 관용차의 70%를 수소차로 바꾸고 수소차량을 대거 보급해 같은 기간 일반 차량의 15%도 수소차로 바뀌도록 유도하기로 했다.
2019년 11월까지 수소연료전지 관련 공업단지를 세우는 일에 국비를 포함해 394억 원을 투자한다. 부생수소 에너지를 가정에 공급하는 ‘제2수소타운’도 2024년까지 추가 조성한다.
광주시는 수소차에 국고보조금과 별개로 보조금 1천만 원을 지급해 수소전기차 5천 대를 장기적으로 보급할 계획을 세웠다. 수소충전소도 2기에서 2022년까지 14기로 늘리기로 했다.
창원시는 10월에 국내 지자체 가운데 최초로 수소산업 생태계를 전반적으로 다루는 ‘창원 국제수소에너지 전시포럼(H2WORLD)’을 연다. 수소충전소 제작회사와 연계해 수소차 관련 산업을 키울 복안도 내놓았다.
부산시, 울산시, 광주시, 창원시 등은 수소 관련 산업의 높은 성장성과 고용유발 효과에 주목해 수소경제의 요충지 선점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컨설팅회사 맥켄지에 따르면 수소 기술이 접목된 교통수단은 2030년 기준으로 700만 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됐다. 수소와 밀접하게 연관된 데이터센터의 백업용 전력 수요도 같은 기간에 현재의 2배 이상인 1테라와트시(TWh)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문재인 정부는 혁신성장의 산업분야로 수소경제를 지목하고 2조6천억 원을 투자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이를 감안하면 수소산업이 빠르게 활성화된 지방자치단체일수록 중앙정부의 도움을 받기도 비교적 쉽다.
부산시 등에 자리잡은 기업들이 자동차부품과 기자재 생산에 주력하고 있어 수소차 생산으로 업종을 전환하기 쉬운 점도 일자리 창출에 도움이 된다. 현대자동차가 2세대 수소차 ‘넥쏘’를 개발했을 때에도 부품을 생산하는 협력기업 110여 곳의 도움을 받았다.
윤주호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수소차는 전기차보다 국산화율이 월등히 높고 적용되는 부품 수도 내연기관과 비슷해 기존의 협력회사들을 유지할 수 있다”며 “자동차 완제품과 부품뿐 아니라 화학, 신재생에너지 발전소, 운송, 미세먼지 절감 등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쳐 고용을 유발하는 효과가 매우 높다”고 바라봤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