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삼부토건이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했다.
25일 삼부토건에 따르면 전날 열린 이사회에서 결정한 회생 절차 개시를 서울회생법원에 신청했다.
삼부토건은 “경영 정상화와 계속 기업으로 가치 보존”을 신청 사유로 설명했다.
이와 함께 “서울회생법원에서 회사가 제출한 회생절차개시 신청서 및 첨부 서류 등을 심사한 뒤 회생절차개시 여부의 결정이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삼부토건은 2020년부터 3년 연속 영업손실을 거두며 적자를 냈다. 지난해 8월에는 회계감사인으로부터 상반기 요약 재무제표에 대해 의견거절 의견을 받았다.
같은 달 한국거래소는 삼부토건 주식을 관리종목으로 지정했다.
삼부토건의 부채비율은 지난해 3분기 기준 838.5%를 육박했다.
삼부토건은 2024년 시공 능력 평가 71위에 해당한다. 1948년 설립돼 1965년 국내 최초로 토목공사 면허를 취득했다.
경부고속도로, 서울지하철 1호선를 시공한 성과를 가지고 있다.
삼부토건은 윤석열 정부 초기부터 주가조작 연루와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의 개입 의혹에 휩싸였다.
삼부토건은 우크라이나 재건 수혜주로 꼽히면서 2024년 5월 1000원대에서 7월 5000원대까지 주가가 치솟았다가 주가가 급락했다. 이에 야권에서 정부의 외교 정보가 주가조작에 이용됐으며 이 과정에서 김건희 여사가 연루됐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지난해 10월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을 조사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인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