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Who
KoreaWho
기업과산업  중공업·조선·철강

'한국산 텅스텐' 채굴업체 알몬티 주가 40% 급등, "중국 수출통제 반사이익"

이근호 기자 leegh@businesspost.co.kr 2025-02-07 13:31:33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한국산 텅스텐' 채굴업체 알몬티 주가 40% 급등, "중국 수출통제 반사이익"
▲ 중국 광시 좡족 자치구 중산현에 위치한 광산에서 2017년 6월2일 노동자가 텅스텐 정광을 골라내고 있다. <연합뉴스>
[비즈니스포스트] 한국산 텅스텐 채굴을 준비하는 알몬티중공업 주가가 최근 40% 넘게 급등했다.

알몬티중공업이 중국발 텅스텐 수출 통제에 대체 공급처로 떠오르면서 시장 기대감을 모았다는 분석이 제시됐다. 

6일(현지시각) 블룸버그에 따르면 토론토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알몬티중공업 주가는 직전 2거래일 동안 41% 상승했다. 

중국 상무부(MOFCOM)와 세관(GAC)은 지난 4일 텅스텐과 몰리브덴을 비롯한 광물 수출 통제를 발표했다. 미국 트럼프 정부와 벌이는 관세 전쟁 맥락에서 나온 조치로 풀이된다. 

중국은 글로벌 텅스텐 생산에 80%를 차지한다. 이 외에 러시아와 베트남 및 북한 등도 소규모로 공급한다. 

컨설팅업체 프로젝트블루에 따르면 중국을 제외한 세계 시장에서 중국산 텅스텐 점유율은 30%다. 

이에 대체 공급 잠재력을 갖춘 기업에 투자가 몰리면서 알몬티중공업에 반사 이익이 돌아간 셈이다. 

블룸버그는 “텅스텐은 엔진 부품과 반도체 생산 등에 필요한 광물”이라며 “공급 부족 우려가 주가에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알몬티중공업은 한국 강원도 영월군 상동 광산에 채굴권을 확보하고 텅스텐 정광 생산을 준비하고 있다. 

상동 광산에서 나오는 텅스텐 가운데 45%는 계약에 따라 미국으로 공급된다. 나머지 55%는 한국 소비자에 제공될 공산이 크다. 

블룸버그는 “알몬티중공업은 2달쯤 뒤 상동 광산을 개장할 예정”이라며 “초기에는 텅스텐을 연간 2500톤 생산할 것”이라고 바라봤다. 이근호 기자

최신기사

구글 MS 메타 아마존 AI 투자 '치킨게임', 올해만 3200억 달러 넘게 쓴다
두산건설 지난해 영업이익 77% 늘어, 최근 10년 내 최대 수준
키움증권 "삼양식품, 올해도 실적 상승 분위기는 꺼지지 않는다"
미래에셋증권 지난해 세전이익 1조 돌파, 자기자본도 12조 넘어서
키움증권 "아모레퍼시픽, 코스알엑스는 당분간 휴식기로 실적 둔화 불가피"
금호건설 12년만에 적자 감수하며 부실 털어, 박세창 올해 아테라로 반등 기대
삼성카드 10년 만에 '순이익 1위' 탈환, 김이태 '금융 너머' 사업 확장 꿈꾼다 
키움증권 '1조 클럽' 복귀 축배? 엄주성 혼돈의 리테일 시장 '1위 사수' 진력
교보증권 "KT&G 수원 기부채납 관련 비용 2029년까지 600억 더 발생"
'국내에 없는 숫자 동남아에 있다' 김상현 롯데쇼핑, 해외에 무게중심 두다
koreawho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