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Who
KoreaWho
기업과산업  전자·전기·정보통신

애플 생산 중국 의존으로 미중 무역전쟁 영향권에, "삼성전자 상대적 유리"

이근호 기자 leegh@businesspost.co.kr 2025-02-07 12:52:37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애플 생산 중국 의존으로 미중 무역전쟁 영향권에, "삼성전자 상대적 유리"
▲ 팀 쿡 애플 CEO(뒷줄 가운데)가 1월20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해 입을 굳게 다물고 있다. 앞줄 오른쪽부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J.D.밴스 부통령 모습도 보인다. <연합뉴스>
[비즈니스포스트] 애플이 중국 공급망에 의존하고 있어 트럼프 정부 들어 격화된 미중 무역전쟁으로 인해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는 외신 분석이 나왔다. 

반면 삼성전자는 상대적으로 중국 의존도가 낮아 유리할 수 있다는 분석도 함께 언급됐다. 

7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애플은 관세와 규제 등 미국과 중국이 주고받는 무역전쟁 여파 한가운데에 놓일 것으로 보인다. 

미국 트럼프 정부는 중국산 수입 제품에 10% 관세를 추가했다. 중국 당국도 보복에 나서 미국산 원유와 석탄 등에 10~15% 관세를 책정했다.
 
애플은 부품 공급 및 아이폰 제조 등을 중국 현지 업체에 크게 의존하고 있어 이번 관세 부과로 제품 비용 상승이 불가피할 수 있다. 2022년 기준 애플 핵심 부품사 188곳 가운데 중국 업체 비율은 80%에 달했다.

반면 삼성전자는 인도와 베트남 제조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 이러한 리스크에 영향이 덜할 것이라는 관측이 이어졌다.  

블룸버그는 “삼성전자는 대부분 전자기기를 중국 외부에서 생산해 관세 문제에 강점을 가진다”고 분석했다. 

애플도 공급망 탈중국을 시도하고는 있다. 코로나19 당시 정저우시에 위치한 애플 아이폰 조립업체 공장이 당국 명령으로 폐쇄됐던 일이 계기가 됐다. 

그러나 애플 현지 협업사가 중국 지방정부의 이전 반대 압력을 받고 있어 공급망 전환에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중국 협업사가 애플 전자기기 제조 경험을 쌓아 다른 국가 업체보다 나은 품질을 낸다는 점도 공급망 탈중국을 가로막는 요소로 꼽혔다. 

이에 더해 중국 반독점 규제 당국이 미국 견제 일환으로 애플의 앱스토어 수수료 문제를 조사할 수 있다는 관측도 전해졌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의 아누락 라나 분석가는 “앱스토어는 높은 수익을 안겨다 주는 사업이라 중국이 조사에 나서면 애플에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바라봤다. 

다만 블룸버그는 애플이 관세가 매겨지지 않는 서비스 사업부문 수익으로 미중 무역 정책에 대처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근호 기자

최신기사

두산건설 지난해 영업이익 77% 늘어, 최근 10년 내 최대 수준
키움증권 "삼양식품, 올해도 실적 상승 분위기는 꺼지지 않는다"
미래에셋증권 지난해 세전이익 1조 돌파, 자기자본도 12조 넘어서
키움증권 "아모레퍼시픽, 코스알엑스는 당분간 휴식기로 실적 둔화 불가피"
금호건설 12년만에 적자 감수하며 부실 털어, 박세창 올해 아테라로 반등 기대
삼성카드 10년 만에 '순이익 1위' 탈환, 김이태 '금융 너머' 사업 확장 꿈꾼다 
키움증권 '1조 클럽' 복귀 축배? 엄주성 혼돈의 리테일 시장 '1위 사수' 진력
교보증권 "KT&G 수원 기부채납 관련 비용 2029년까지 600억 더 발생"
'국내에 없는 숫자 동남아에 있다' 김상현 롯데쇼핑, 해외에 무게중심 두다
윤석열 탄핵심판 '엔드게임' 돌입, 조지호 청장 경찰 쪽 모자이크 채워넣을까
koreawho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