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중공업·조선·철강

포스코퓨처엠 철강 생산 소재 '전극봉' 제조기술 국산화, "공급망 안정화"

신재희 기자 JaeheeShin@businesspost.co.kr 2024-12-12 16:37:31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포스코퓨처엠 철강 생산 소재 '전극봉' 제조기술 국산화, "공급망 안정화"
▲ 포스코퓨처엠이 12일 철강 생산공정 소재인 전극봉 제조 기술을 개발했다. 사진은 회사가 개발한 직경 300mm의 UHP(Ultra High Power)급 전극봉 모습. <포스코퓨처엠>
[비즈니스포스트] 포스코퓨처엠은 철강 생산공정 소재인 전극봉의 제조기술 국산화에 성공했다고 12일 밝혔다.

전극봉은 전기를 열 에너지로 바꾸는 탄소 소재다. 전기로 제강 공정에서 철 스크랩을 녹여 쇳물을 만들거나, 용광로에서 생산한 쇳물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정련 공정에 사용된다. 

전극봉 직경이 크고 전극 밀도가 높을수록 전력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 작업 효율이 높아진다.  

이번에 개발한 전극봉은 직경 300mm 고품질 UHP(Ultra High Power)급이다. 제철공정 부산물인 콜타르로 만든 침상코크스를 제조과정에 활용했다.

회사 측은 산업통상자원부가 2020년 추진한 탄소산업기반조성사업에서 '300mm 이상급 인조흑연 전극봉 기술개발' 국책과제 주관사업자로 선정돼 4년9개월 연구개발 끝에 개발에 성공했다고 설명했다.

회사는 앞으로 전극봉 사업화를 검토키로 했다. 올해 초 광양제철소에 전기로 공장을 착공한 포스코와도 저탄소 제철공정 구축을 위한 그룹 차원 협력도 강화키로 했다.

회사 측은 이번 전극봉 제조기술 개발로 철강업계 공급망 안정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했다.

현재 국내 철강업계는 전극봉을 중국, 일본, 인도 등에서 전량 수입하고 있다. 수입량은 매년 3만 톤에 이른다.

지난 2017년에는 중국산 전극봉 부족 사태로 중소 규모 전기로 제강사들이 가동중단 위기를 겪었고, 2019년에는 일본 정부가 우리나라를 '화이트리스트(수출심사 우대국)'에서 제외하면서 전극봉 품귀 우려가 나오기도 했다. 신재희 기자

최신기사

SSG닷컴 '차은우 부캐 매직' 끈이라도, 최훈학 갈 길이 멀지만 한 걸음 내딛다
유바이오로직스, 질병관리청 mRNA 백신개발 지원사업에 뽑혀
[이주의 ETF] 키움투자자산운용 'KIWOOM 글로벌투자모빌리티' 8%대 올라 상승률..
LG엔솔 주축 LG컨소시엄, 인도네시아 정부와 11조 규모 배터리 프로젝트 철회
스마일게이트 게임사 3강 도약, 크로스파이어 의존 탈피가 지속성장 열쇠
한화에어로스페이스 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주당 75만7천 원에 총 1조3천억
중소기업 대출 조이는 4대 시중은행, 미국 상호관세 우려에 건전성 관리 강화
코스피 기관 순매수에 2480선 돌파, 코스닥도 상승 마감
삼성전자와 기아 인도 정부의 세금 추징에 불복 전망, "무리한 세수 확보"
엑스알피 가격 저항선 돌파 뒤 급등 가능성 제기, 비트코인 1억2242만 원대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