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 쇼크, 그 후] 한밤 계엄 선포에 네이버 포함 포털 먹통, "고의적 차단 아니냐" 의혹 확산
정희경 기자 huiky@businesspost.co.kr2024-12-04 16:12:26
확대축소
공유하기
[비즈니스포스트] 지난 3일 밤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령 선포 후 네이버 등 주요 포털 사이트에서 접속 장애가 발생하며 혼란이 가중됐다는 비판이 나온다. 네이버 카페 등 커뮤니티와 뉴스 일부 서비스 장애가 발생하면서, 중요한 시기에 접속 장애를 일으키는 포털에 대한 불만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4일 네이버에 따르면 비상계엄령 선포 후 3일 밤 11시를 전후로 네이버 카페 접속과 뉴스 댓글 달기 등 일부 기능에서 장애가 빚어졌다.
▲ 4일 새벽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에 계엄령 선포에 반대하는 시민들과 이를 저지하는 경찰들이 대치하고 있다. <연합뉴스>
네이버 카페 서비스는 밤 11시를 전후로 접속이 안 되는 오류가 발생하다, 오전 0시를 넘겨 장애가 해소됐다. 웹 환경에서 댓글 달기 등 일부 기능 장애는 임시점검을 거쳐 4일 오전 1시20분경 복구됐다.
네이버 측은 3일 장애가 발생하자 "서비스 점검이 진행되는 동안 카페 게시글과 댓글쓰기, 수정, 삭제 등 작업이 제한됐고, 카페 검색 미노출, 조회수 정보가 미반영 등 영향이 있을 수 있다"며 "임시 점검으로 서비스 이용에 불편을 드린 점 이해 부탁드린다"고 공지했다.
네이버뿐 아니라 카카오 다음를 비롯한 커뮤니티도 트래픽 급증에 일부 서비스가 마비되기도 했다.
이같은 주요 포털 서비스 장애에 포털 측이 정부 계엄령에 따라 고의적으로 서비스를 차단한 것 아니냐, 혹은 정부의 언론·미디어 통제에 따른 것 아니냐는 의혹이 이용자 사이에서 급속히 확산했다.
SNS에서 이용자들은 "국민끼리 비상 계엄령 관련해 의견을 나누지 말라고 카페 서비스를 막은 것 아니냐", "집결을 막는 것 같다", "포털이 정부 눈치를 보고 알아서 서비스를 차단한 것 아니냐" 등의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네이버 측은 정부의 주문이 아니라 갑작스러운 트래픽 급증에 따른 것이라고 해명했다.
▲ 위기 상황 때마다 서비스 장애가 잇따르면서 포털 등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에 대한 서비스 안정성을 담보하는 규제 강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네이버>
그러나 위기 사태 때마다 포털 서비스 장애가 발생하면서, 포털의 서비스 안정성에 대한 불신이 커지고 있다.
앞서 지난해 5월 북한 발사체 소식이 전해진 직후 네이버 모바일 버전이 트래픽 폭증으로 접속 장애가 발생했다. 서울시의 경계경보 문자로 불안한 시민들이 줄지어 네이버에 접속하면서 서비스 장애로 이어진 것으로 추정됐다.
지난해 1월 인천 강화도 해상에서 지진이 발생한 직후에도 이용자가 몰리자 네이버 뉴스 서비스 오류가 발생하기도 했다.
비상 상황에 국내 주요 온라인 플랫폼의 뉴스, 커뮤니티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지만, 관련 인프라 투자가 미흡하다는 비판도 나온다. 포털이 사회적 커뮤니케이션의 대표 도구 역할을 수행하는 등 사회적 책임이 커진 만큼, 위기 대응 인프라를 강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SK텔레콤, KT 등 기간 통신사업자들은 재난관리 의무를 적용받고 있다. 2023년 개정 법에 따라 네이버, 카카오 같은 대형 플랫폼 사업자들과 대형 데이터센터도 재난관리 의무대상에 포함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8월 네이버에 통신재난관리 계획 미흡에 대한 시정명령을 통지하기도 했다. 과기정통부는 네이버에 서버 작업 통제시스템 문제를 지적했고, 네이버는 올해 4분기 완료를 목표로 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앞서 밝혔다.
IT 업계 관계자는 "국민 소통의 최우선 역할을 맡고 있는 포털 등 주요 온라인 플랫폼에 서비스 장애가 잇달아 발생하면 사회적 혼란이 가중될 수 있는 만큼, 이에 대한 규제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정희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