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두산에너빌리티가 주기기를 비롯한 양수발전 관련 솔루션 공급에 나선다고 3일 밝혔다.
양수발전은 전력수요가 적은 심야시간대 저렴한 전력을 이용해 상부댐으로 물을 퍼올렸다가 전력소비 집중시간대에 하부댐으로 물을 낙차시켜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방식이다.
▲ 두산에너빌리티가 양수발전 관련 주요 솔루션 공급에 나선다고 3일 밝혔다. 사진은 두산에너빌리티의 창원 본사. <네이버블로거 '찬찬찬' 제공> |
재생에너지 발전방식의 간헐성과 변동성을 보완할 수 있는 일종의 에너지저장장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현재 한국수력원자력은 충북 영동군에 500메가와트(MW) 규모의 신규 양수발전소 건립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밖에도 강원 홍천, 경기 포천, 경남 합천 등 지역에서도 건립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정부의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2038년까지 구축할 양수발전 선비 용량은 5.7기가와트(GW)에 이른다.
앞서 두산에너빌리티는 2019년 글로벌 수력·양수발전 주기기 공급사인 안드리츠와 기술·사업협력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또 한국수력원자력과 수력발전용 30MW급 수차·발전기를 개발하고 있다. 신재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