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중공업·조선·철강

포스코그룹 철강·2차전지소재 양대사업 먹구름, 장인화 2030년 시총 200조 달성에 물음표

허원석 기자 stoneh@businesspost.co.kr 2024-10-17 17:18:03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포스코그룹 철강·2차전지소재 양대사업 먹구름, <a href='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79170' class='human_link' style='text-decoration:underline' target='_blank'>장인화</a> 2030년 시총 200조 달성에 물음표
▲ 포스코그룹이 철강과 2차전지소재 등 양대 사업 부진 속 2차전지소재 관련 투자 속도조절에 나서고 있다. 일각에선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이 세운 '2030년 그룹 합산 시가총액 200조 달성'이라는 목표 달성이 어려울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그래픽 비즈니스포스트>
[비즈니스포스트]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이 철강과 2차전지소재 사업을 주축으로 제시한 '2030년 그룹 합산 시가총액 200조 달성'이라는 중장기 목표 달성에 초반부터 물음표가 붙고 있다. 

포스코그룹 지주회사와 주요 계열사 실적이 부진한 가운데 2차전지 소재 관련 투자의 축소·순연이 이어지면서 시장 기대치도 가라앉고 있기 때문이다.

17일 업계 취재를 종합하면 포스코그룹은 최근 2차전지소재 사업 관련 투자를 축소·철회하거나 일정을 연기하는 등 '속도조절'에 나서고 있다.

포스코그룹의 2차전지소재 계열사 포스코퓨처엠은 지난달 26일 미국 완성차업체 제너럴모터스(GM)와 함께 캐나다 퀘벡주 베캉쿠아에 건설하고 있는 연산 3만 톤 규모의 양극재 공장 완공 일정을 연기한다고 공시했다. 

포스코퓨처엠은 앞서 2022년 7월 배터리소재사 최초로 GM과 합작사 '얼티엄캠'을 설립하고 해당 공장 건설을 추진해왔다.

당초 지난달 말 완공을 목표로 했지만 예상보다 완공 시점이 미뤄졌고, 현재 예상 완공일자도 내놓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회사 측은 "현지 여건으로 완공일정을 조정 중"이라며 "확정되는대로 공시하겠다"고 밝혔다.

포스코퓨처엠은 양극재의 직전 단계 소재인 전구체 공장 건설 계획도 백지화했다.

회사는 지난달 4일 "포항시·화유코발트사와 니켈제련 및 전구체 생산 관련 투자를 위해 투자양해각서를 체결했으나 이후 전기차 시장 성장둔화(캐즘)을 거치며 사업성이 어렵다는 판단으로 투자에 대한 검토 절차를 중단하기로 최종결정했다"고 공시했다.
 
포스코퓨처엠과 화유코발트는 지난해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포항블루밸리산단에 1조2천억 원을 들여 2027년 가동을 목표로 전구체 공장을 건설할 계획을 세웠다. 

이뿐 아니라 지난 8월엔 합작사 피앤오케미컬 지분 51% 모두를 합작파트너인 OCI에 넘기기로 결정했다.

피앤오케미칼은 두 회사가 제철 부산물을 활용한 고부가가치 소재 생산을 위해 2020년 설립한 법인으로, 음극재 코팅용 소재인 고연화점 피치를 생산한다.

또 지난 8월 포스코퓨처엠은 내년 6월 완공을 목표로 포항블루밸리산단에 건립 중인 음극재 공장의 규모도 연간 생산능력 1만8천톤에서 1만3천톤으로 축소했다. 

장인화 회장은 취임 일성으로 2차전지소재사업 관련 투자를 지속하겠다는 뜻을 명확히 했다.

그는 포스코그룹 회장에 공식 취임한 지난 3월21일 기자회견을 열고 "2차전지소재사업은 그동안 포스코가 도전해온 많은 신사업 중에서 가장 잘 한 사업이라 생각한다"며 "시장이 나쁘다고 투자를 멈추면 안된다. 적기에 적절하게 투자하겠으나, 결코 소홀하지는 않겠다"고 했다. 

당시 정통 '철강맨'인 장 회장이 최종 회장 후보로 낙점된 뒤 시장에선 그룹의 중심축을 철강으로 되돌리면서 2차전지소재 등 신사업 투자가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던 터였다.

이어 5월 세종시 포스코퓨처엠 에너지소재연구소와 천연흑연 음극재 공장을 방문한 현장에서도 "글로벌 친환경차 시장에서 전기차는 꼭 가야하는 방향으로 그룹 차원에서 투자 축소는 없을 것"이라고 했다.

그럼에도 포스코그룹 2차전지소재 관련 투자가 축소 흐름을 보이는 것은 세계 전기차시장이 캐즘으로 인해 GM, 포드 등 완성차업체들이 배터리 등 전기차 투자 관련 속도조절에 나서고 있는 데다, 주력인 철강사업 업황도 바닥을 찍은 '2중고'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그룹 지주사 포스코홀딩스는 지난 4월 1분기 실적을 발표하면서 "전기차 시장 성장 둔화를 반영해 2차전지소재 사업의 전반적 성장 방향을 유지하되 일부 사업에 대한 투자를 합리적 시점으로 순연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지난해 7월 '밸류데이' 발표 당시보다 2차전지소재 원료 생산능력 확보 목표를 △리튬 16만6천→9만6천톤(t) △니켈 7만3천→4만8천 톤 △양극재 44만5천→39만5천 톤 △음극재 22만1천→11만4천 톤으로 낮춰잡았다.

기존 2026년으로 정했던 리튬, 니켈, 양극재, 음극재 증산투자 완료 시점을 2027년 이후로 연기했고, 일부 투자 계획은 재검토에 들어갔다.

전기차 배터리시장 위축 속 포스코그룹의 관련 투자가 축소 추세를 보이고, 실적 부진까지 심화하면서 포스코그룹을 향한 투자심리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난해 한 때 60만 원대를 넘나들었던 포스코홀딩스 주가는 이날 34만2500원에 장을 마감했다. 

포스코홀딩스는 지난 7월12일 2026년까지 약 2조 원 규모의 자사주를 소각하겠다는 주주환원 정책을 내놓기도 했지만 의미 있는 주가 반등을 이뤄내지 못했다.

이에 앞서 장 회장은 지난 7월 초 'CEO 타운홀미팅'을 열고 "철강과 2차전지소재, 신소재를 축으로 2030년 그룹 합산 매출액은 2배, 영업이익은 4배로 성장해 그룹 합산 시가총액 200조를 목표로 소재 분야 최고 기업가치를 가진 글로벌 초일류 기업으로 도약하자"는 목표를 제시했다. '2030 소재 분야 글로벌 최고 기업가치 달성' 이라는 미래 비전도 내놨다.

장 회장이 임기 첫해 양대사업의 업황 둔화 속 기업가치 강화의 핵심 축인 2차전지소재사업 투자 속도조절에 나서면서 2030년 시총 200조라는 장기목표 관련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이날 종가 기준 포스코그룹 상장사 시가총액은 포스코홀딩스 28조2988억 원, 포스코퓨처엠 18조1264억 원, 포스코인터내셔널 9조1832억 원, 포스코DX 4조2570억 원, 포스코엠텍 6950억 원, 포스코스틸리온 2289억 원이다. 이를 합산한 포스코그룹 시가총액은 60조7893억 원이다. 허원석 기자

최신기사

SSG닷컴 '차은우 부캐 매직' 끈이라도, 최훈학 갈 길이 멀지만 한 걸음 내딛다
유바이오로직스, 질병관리청 mRNA 백신개발 지원사업에 뽑혀
[이주의 ETF] 키움투자자산운용 'KIWOOM 글로벌투자모빌리티' 8%대 올라 상승률..
LG엔솔 주축 LG컨소시엄, 인도네시아 정부와 11조 규모 배터리 프로젝트 철회
스마일게이트 게임사 3강 도약, 크로스파이어 의존 탈피가 지속성장 열쇠
한화에어로스페이스 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주당 75만7천 원에 총 1조3천억
중소기업 대출 조이는 4대 시중은행, 미국 상호관세 우려에 건전성 관리 강화
코스피 기관 순매수에 2480선 돌파, 코스닥도 상승 마감
삼성전자와 기아 인도 정부의 세금 추징에 불복 전망, "무리한 세수 확보"
엑스알피 가격 저항선 돌파 뒤 급등 가능성 제기, 비트코인 1억2242만 원대
Cjournal

댓글 (9)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
손시곤
안돼면 퇴전해라 머하러 자리 차지하고 주주 물먹이냐?
무능하면 그냥물러나!
   (2024-10-20 14:38:30)
와아락
기레기가 포스코 계열사 퓨처엠 얘기를 포스코홀딩스처럼 얘기하노 주가 떨어뜨릴려고? 좀있으면 올라간다는거네?   (2024-10-20 11:45:06)
친중매국언론
돈 몇푼에 나라까지 팔아먹을 기세네.
대한민국에 간첩이 몇명이고,
중국언론이 몇개냐?
전문가들 얘기 참고좀하고 글 싸질라.
   (2024-10-20 10:26:59)
주식은 기업의
미래를 반영한다는데 중국돈 먹은 기레기는 현실과 과거를 반영하네... 늬들나라 부동산에 돈풀어 건설경기 살아나면 철강가격오를꺼고 내년 1뭘부터 ira적용되면 리튬값 오를텐데.. 뭐가 이리 부정적일까? 변수는 트럼프인데 ira폐지는 어차피 못한다. 축소면 모를까..   (2024-10-19 11:38:45)
지호호호
쓰레기사 공부좀 해라 기자야   (2024-10-19 06:40:36)
다나김
우리민족은 자국을 꺽아내리는데 언제나 최선을 다한다...자국민이 뽑은 대통령은 무조건 끌어내리기. 욕하기 꼬투리 잡기...연예인 헐뜯기..누구하나 실수 하면 우루루 몰려가 돌 같이 던지는데 동참하기...참 팔랑귀 같은 민족 소신도 없이 팩트 체크도 없이 뉴스에 pd수첩 그것이 알고싶다등등 국민을 쇠뇌시키는쥴도 모르고 그대로 받아들인다 순진하게.... 이해관계에 있는 권력의 입김인줄도 모르는 던순한 국민들을 잘 이용해 먹는 상위 1%들의 손에 의해서 소   (2024-10-19 02:27:49)
다나김
개미들 팔고 나가게 해야 주가가 내려가고 공매도로 이익보는 증권사 돈 받았구만..포홀 주주 여러분 기사나 증권사 투자의견 반대로 허시면 됩니다.
기자들은 믿을게 못되요..차라리 옛날 기자들이 정의롭기나 하지 지금 기자들은 먹고 살기 바빠서 돈에 현혹되어 기사를 쓴다는것을 국민들이 더 알아서 신뢰를 잃은듯....
   (2024-10-19 02:22:02)
정재용
기레기야 이것도 기사냐 중국 딋돈 받았나?   (2024-10-18 19:30:48)
기자가 매국노
중국 이민가라 국적취득하고
   (2024-10-18 18:30: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