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자동차가 로보택시 시장에서 테슬라와 구글 웨이모 경쟁사로 꼽히지만 한국 정부의 엄격한 규제로 어려움을 안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현대차 아이오닉5 기반 로보택시 이미지. |
[비즈니스포스트] 현대자동차가 자율주행차 시장에서 테슬라 ‘로보택시’와 구글 웨이모의 경쟁사로 주목받고 있지만 기술 개발에 약점을 안고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한국의 자율주행 및 데이터 관련 규제가 미국이나 중국보다 엄격해 현대차의 연구개발 속도가 늦춰지며 선두 기업을 따라잡는 데 어려움을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17일 대만 디지타임스에 따르면 테슬라와 구글, 중국 바이두 등 기업이 주도하는 자율주행차 기술 경쟁이 현대차에도 기회를 열어줬다는 시각이 나온다.
자율주행차 관련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관련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현대차도 주요 기업 가운데 한 곳으로 떠오르고 있다.
디지타임스는 자율주행차 시장 규모가 지난해 1583억 달러(약 216조 원)에서 2033년에는 2조7500억 달러(약 3754조 원)에 이를 것이라는 조사기관 얼라이드마켓리서치의 분석을 전했다.
현대차는 2022년 레벨3 단계 자율주행 기술 확보에 성공한 뒤 내년 레벨4 자율주행 상용화를 목표로 연구개발을 지속하고 있다.
서울과 미국 라스베이거스 등 지역에서 자율주행 택시 시범주행도 이뤄졌다. 자율주행차 시장의 핵심 경쟁 분야로 꼽히는 로보택시 시장에서 성장 기회를 찾고 있는 셈이다.
자율주행 무인택시를 의미하는 로보택시는 테슬라와 구글, 바이두 등 자율주행 상위 기업들이 새 성장동력으로 적극 육성하고 있는 사업이다.
테슬라가 최근 로보택시 사업 발표회를 열고 전용 차량과 서비스 운영 계획 등을 공개하며 재차 업계에서 주목받고 있다.
보스턴컨설팅그룹은 로보택시 시장 규모만 따져도 2030년에는 7천억 달러(약 965조 원)에 이를 것이라며 시장 성장에 낙관적 전망을 제시했다.
디지타임스는 현대차가 자율주행 모빌리티 분야에 7조 원을 투자하는 등 적극적 성장 전략을 쓰며 투자 대비 성과를 극대화하려 하고 있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러나 자율주행 기술을 상용화하는 데 미국이나 중국 경쟁사보다 큰 약점을 안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한국의 자율주행 관련 규제가 훨씬 엄격한 편이기 때문이다.
디지타임스는 현대차가 한국에서 관련 규제에 따라 자율주행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 제약을 안고 있다며 이는 기술 개발에 약점으로 남을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지난해 9월 기준 미국과 중국은 각각 7천만 km에 이르는 자율주행 데이터를 축적한 것으로 파악되는데 한국의 경우 40만 km 안팎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레벨3 이상의 자율주행 차량으로 발생한 교통사고와 관련해 한국의 법적 체계가 분명하게 마련되지 않았다는 점도 현대차의 기술 개발에 불리한 요소로 꼽혔다.
디지타임스는 “한국 기업이 자율주행차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기술 부족이 아닌 규제 때문”이라며 “규제 환경이 기술 혁신을 저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의 경우 자율주행 기술을 개발하는 기업들이 축적할 수 있는 데이터에 사실상 제약이 없다. 미국은 캘리포니아를 비롯한 일부 주에서 분명한 법적 체계가 마련되어 있다.
결국 디지타임스는 현대차가 이러한 규제 장벽을 극복하고 기술 발전에 속도를 낼 수 있어야만 미국 및 중국 경쟁사들과 격차를 좁힐 수 있을 것이라고 바라봤다.
현대차가 삼성전자 및 LG전자와 인공지능(AI) 기술 개발에 협력하고 있지만 투자 규모 등 측면에서도 글로벌 주요 경쟁 기업에 뒤처지고 있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디지타임스는 “인공지능 기술은 자율주행차 개발에 필수적”이라며 “꾸준한 정책적 지원으로 혁신과 투자를 자극할 수 있어야만 자율주행 분야에서 국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전했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