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pForum
KoreaWho
BpForum
KoreaWho
기업과산업  항공·물류

제주항공 수천억 결손에도 밸류업 의지, 김이배 ‘주주가치’ ‘역량강화’ 균형 고심

류근영 기자 rky@businesspost.co.kr 2024-10-11 16:17:33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비즈니스포스트] 김이배 제주항공 대표이사 사장이 이른바 ‘밸류업 공시’를 위한 기업가치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데 고심할 것으로 보인다.

김 사장은 제주항공의 이익체력이 어느 정도 회복되긴 했지만 여전히 코로나19 시기에 입은 타격의 여파가 남아 있는데다 항공업계 대개편을 앞두고 있는 만큼 주주가치 개선과 사업역량 강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아야 하는 과제를 동시에 고민해야 하는 형편이다.
 
제주항공 수천억 결손에도 밸류업 의지, 김이배 ‘주주가치’ ‘역량강화’ 균형 고심
▲ 김이배 제주항공 대표이사 사장이 이른바 ‘밸류업 공시’를 위한 기업가치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가운데 주주가치 개선과 사업역량 강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11일 제주항공에 따르면 4분기 중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공시하기 위해 주주환원 강화 등을 포함한 구체적 방안들을 준비하고 있다. 

기업가치 제고 계획은 투자자가 공시된 계획을 투자 판단에 적극 활용함으로써 자본시장을 선진화한다는 취지에서 정부가 상장기업들에게 권장하고 있는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일환이다. ‘밸류업 공시’로 통용되고 있기도 하다.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내놓은 기업에게는 혜택도 돌아간다. 주주환원 금액을 확대한 기업에 대해서 법인세 감면 혜택을 주는 한편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공시한 기업의 투자한 주주들에게 배당소득세를 저율 분리과세하는 방안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항공업계에서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공시하기로 명시한 곳은 현재로서는 제주항공이 유일하다. 4분기 중 제주항공의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가 나오면 항공업계 최초 밸류업 공시가 될 가능성이 있다. 

제주항공의 이익체력 회복은 김이배 사장이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내놓기로 한 배경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코로나19가 한창일 때 하늘길이 막히며 제주항공 역시 위기를 맞았지만 이제 다시 여행수요가 늘어나며 제주항공은 지난해부터 다시 흑자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문제는 제주항공이 코로나19 때 누적된 영업 적자의 영향에서 아직 자유롭지 못하다는 점이다. 제주항공은 코로나19가 발발한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연속 적자 흐름을 보였다. 

연도별 영업손실은 2019년 329억 원, 2020년 3358억 원, 2021년 3171억 원, 2022년 1797억 원이다. 

이 때문에 제주항공의 이익잉여금은 아직 음수다. 제주항공은 올해 6월 말 기준으로 결손금이 3722억 원이다. 영업을 통해 이익이 생기더라도 배당에 앞서 결손금을 메꿔야만 하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주주에게 현금을 배당하거나 자사주를 매입하는 등의 주주환원 정책을 추진하는 게 불가능하다. 

현재 영업환경을 고려하면 영업이익만으로 결손금을 메우려면 빨라도 2027년은 돼야 할 것이란 관측이 많다. 

이에 자본준비금을 이익잉여금으로 전환해 주주환원의 재원을 마련하는 방안도 떠오른다. 이익잉여금이 없거나 결손금 상태인 기업들 다수가 이런 방식으로 배당을 지급한 사례가 많다. 

티웨이항공도 자본준비금을 이익잉여금으로 전환하는 방식을 통해 배당을 지급한 적이 있다.

이와 별도로 제주항공은 기업 경쟁력을 강화해 업황 변화에 대응할 필요성도 높아졌다. 현재 제주항공은 기단 규모나 매출 측면에서 국내 1위 저비용항공사로 평가된다. 

국토교통부 항공기술정보시스템의 항공기 등록현황을 보면 제주항공의 현재 기단규모는 41대로 티웨이항공(36대), 진에어(30대), 에어부산(22대)을 앞선다. 

제주항공의 지난해 매출은 1조7240억 원으로 역시 티웨이항공(1조3488억 원), 진에어(1조2722억 원), 에어부산(8904억 원)을 웃돈다.

하지만 대한항공와 아시아나항공의 합병으로 그 아래 저비용항공사(진에어, 에어부산, 에어서울)들이 합쳐 통합 저비용항공사를 이루게 되면 산술적으로 1위 자리는 바로 뒤바뀌게 된다. 더구나 통합 저비용항공사는 세계 10위권 대형항공사(FSC)가 될 대한항공의 자회사로서 상당한 이점을 누릴 공산이 크다. 

제주항공으로서는 막강한 경쟁자를 맞게 되는 셈이다. 

통합 저비용항공사가 출현하면 중복노선이 일부 정리되고 경쟁이 완화돼 제주항공에도 혜택이 돌아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반면 제주항공이 저비용항공시장에서 입지가 줄어들며 이전보다 어려운 환경을 맞을 수 있다는 관측도 적지 않다. 
 
제주항공 수천억 결손에도 밸류업 의지, 김이배 ‘주주가치’ ‘역량강화’ 균형 고심
▲ 제주항공 항공기. <제주항공>

한국신용평가는 항공업 관련 스페셜리포트에서 제주항공과 관련해 “저비용항공업계 내 위상이 이전보다 약화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중장기적으로 통합 대한항공, 통합 저비용항공사와 중·단거리 노선 내 경쟁이 심화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바라봤다. 

김 사장이 최근 임직원들에게 인수합병(M&A) 의지를 내비치는 메시지를 전달한 것도 회사의 질적·양적 규모를 키워 항공업황 변화에 대응해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되고 있기도 하다. 김 사장은 CEO메시지를 통해 “향후 인수합병 기회가 왔을 때 어떻게 대응하느냐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다만 인수합병을 비롯해 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작업에는 막대한 자금이 투입될 수밖에 없다. 

제주항공이 코로나19 와중이었던 2020년 이스타항공 인수를 추진하며 주식 매매 계약을 체결했을 때 인수가격은 545억 원이었다. 물론 제주항공이 이스타항공 인수를 포기하며 계약은 무산됐다.

코로나19가 끝난 뒤 항공사들의 영업이 어느 정도 정상화된 현재 시점에서는 항공사들의 기업가치에 대한 눈높이가 더 높아졌다고 보는 게 합리적이다.   

김 사장이 기업가치 제고 계획에 주주환원과 본원적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안을 동시에 담는 일이 만만치 않은 작업이 될 수밖에 없는 이유다. 류근영 기자

최신기사

고려아연 "공개매수해도 6년이면 회복", MBK·영풍 재무건전성 지적 반박
DB하이텍 2500억 규모 시설투자 결정, 계열사 890억 유상증자도 참여
HD현대 2650억 원 규모 교환사채 발행, HD현대일렉트릭 지분 2% 걸어
정의선 '취임 4년' 확 달라진 현대차그룹 위상, 미래 모빌리티로 또한번 대도약
논란 빚었던 중국 방치형 게임 AFK새로운여정, 실제 확률 밝혔지만 환불·보상 없어
코레일 한문희 “안전관리체계 고도화할 것”, 철도운임에는 “인상 필요”
명태균 논란에 나경원·이준석 설전, 나 “2021년 전대 수상” 이 “부정선거론”
오픈AI 2029년까지 적자 지속 전망, 올해만 6조 원 적자 예상
[이주의 ETF] 미래에셋자산운용 ‘TIGER 글로벌사이버보안INDXX’ 8%대 상승 ..
[오늘의 주목주] '재료 소멸' KT&G 12%대 하락, 에이비엘바이오 15%대 올라
koreawho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