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과머니  해외증시

뉴욕증시 혼조세 마감, 엔비디아 6.7% 급락 속 다우지수 5거래일 연속 상승

정희경 기자 huiky@businesspost.co.kr 2024-06-25 08:56:26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비즈니스포스트] 미국 뉴욕증시가 혼조세로 장을 마쳤다. 엔비디아를 비롯한 주요 반도체주가 크게 조정을 받았다.

24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직전 거래일보다 260.88포인트(0.67%) 상승한 3만9411.21에 장을 마감했다. 
 
뉴욕증시 혼조세 마감, 엔비디아 6.7% 급락 속 다우지수 5거래일 연속 상승
▲ 현지시각으로 24일 뉴욕증시가 혼조세 마감했다. 사진은 뉴욕증권거래소(NYSE)의 모습. <연합뉴스>

다우지수는 17일부터 이날까지 5거래일 연속 올랐다. 

반면 대형주 중심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직전 거래일보다 16.75포인트(0.31%) 하락한 5447.87에, 기술주 중심 나스닥지수는 192.54포인트(1.09%) 낮은 1만7496.82에 거래를 마쳤다. 

하장권 LS증권 연구원은 "선물옵션 만기일을 기점으로 엔비디아는 그동안 상승에 따른 피로감을 반영하며 3거래일 연속 하락했다"며 "반도체업종이 대체로 부진했지만 수급적 측면에서 그동안 반도체 쏠림이 완화하며 증시는 어느정도 버티는 모습을 보였다"고 평가했다. 

엔비디아 주가가 3거래일 연속 하락했다. 

2거래일 연속 3%대 하락세를 보였던 엔비디아 주가는 이날 6.68% 급락하면서 더 큰 조종세를 보였다.

엔비디아를 비롯해 브로드컴(-3.70%), AMD(-0.61%), 마이크론(-0.38%), 퀄컴(-5.50%) 등 반도체주 주가가 함께 하락했다.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도 3.02% 내렸다. 

하 연구원은 "26일로 예정된 마이크론의 실적발표와 같은 날 열리는 엔비디아의 주주총회 이후에야 반도체 업종의 방향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며 "이미 상당부분 선반영된 가치 수준을 정당화하며 추가적 상승 모멘텀을 일으킬지가 관건이다"고 분석했다. 

반도체업종이 부진했지만 반도체 쏠림 현상이 완화하면서 주요지수 하단은 어느 정도 지지됐다. 다우지수는 기술주 부진에도 쉐브론(2.6%), 암젠(3.2%), 골드만삭스(2.7%) 등 종목이 강세를 보이면서 상승 마감했다. 

종목별로 살펴보면 아마존(-1.86%), 마이크로소프트(-0.47%), 테슬라(-0.23%) 주가는 내렸다. 애플(0.31%), 메타(0.83%), 알파벳(0.29%) 주가는 상승 마감했다. 

투자자들은 연방준비제도(Fed, 연준)의 금리인하 시점을 주시하고 있다. 

이번 주 28일에는 연준이 선호하는 물가지수인 5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가 발표된다.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에 이어 또 다시 인플레이션 둔화세가 확인된다면 금리인하 기대감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비둘기파로 꼽히는 오스틴 굴스비 시카고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와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는 물가 경로에 대해 긍정적 평가를 내렸다. 정희경 기자

인기기사

현대건설 건설로봇 원격제어·무인시공 기술 시연, "맞춤형 기술 구현 최선" 배윤주 기자
양수발전 댐 건설 쏟아진다, 첫 타자 영동 양수발전소 수주 삼성·현대·DL 3파전 류수재 기자
[현장] 63빌딩 전망대 '마지막 서울 풍경' 담아보다, "한국인 마음 속 영원한 랜드.. 신재희 기자
미국 약값 인하 위해 바이오시밀러 규제 푼다, 삼바에피스 셀트리온 수혜 예감 장은파 기자
현대차 '수입차 무덤' 일본에 캐스퍼 일렉트릭 투입, 경차 강세 시장에 이정표 쓸까 허원석 기자
여야 모두 발의한 간호법 제정안, 간호사 뺀 보건의료 단체 반대가 변수 김대철 기자
미국에서 희토류 재고 부족 가능성, 중국과 무역분쟁으로 공급망 리스크 커져 김용원 기자
카카오게임즈 스톰게이트에 쏠리는 눈, 한상우 '검은사막' '배그'만큼 키울까 조충희 기자
산업부, AI반도체 포함 7대 소부장 핵심기술 기반 구축에 4년간 700억 투입 박혜린 기자
외환시장 개장시간 연장 앞두고 금융권 '무한 경쟁' 준비 이상 무 조혜경 기자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