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일 비즈니스포스트가 서울 여의도 FKI타워(구 전경령회관) 다이아몬드홀에서 개최한 '2024 기후경쟁력포럼'에서 2부 기업사례 발표를 마친 후 발표자들이 질의응답을 기다리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
[비즈니스포스트] 국제 플라스틱 협약 최종안 마련을 앞두고 대응책을 준비해 온 기업들이 플라스틱 저감을 비롯한 다양한 문제에 대해 현실적 어려움을 토로했다.
기업들은 재활용을 위한 플라스틱 수거에서 개별 기업 차원의 대응이 아니라 정부를 비롯한 공공 차원의 대책이 마련돼야 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또 기존 플라스틱 제품보다는 바이오 원료와 재활용 제품 관련 투자 확대가 중요하다고 바라봤다.
12일 비즈니스포스트가 서울 여의도 FKI타워(구 전경련회관) 다이아몬드홀에서 개최한 ‘2024 기후경쟁력포럼:국제플라스틱협약이 온다, 순환경제를 준비하라’의 질의응답 시간에서는 플라스틱 저감 노력을 펼쳐온 기업들을 향해 청중들의 다양한 질문이 쏟아졌다.
이날 포럼에서는 양경모 삼성전자 순환경제연구소 랩장, 홍성민 LG전자 ESG실장, 이민종 LG화학 서큘러사업개발 담당, 문상권 CJ제일제당 바이오 BMS사업운영담당 부장 등이 나서 각 기업들의 다양한 플라스틱 저감 노력을 소개했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한 종류인 폴리하이드록시알카오에이트(PHA) 사업을 하는 CJ제일제당을 향해서는 사용 후 PHA가 적용된 제품 수거와 관련해 어려움이 없냐는 질문이 나왔다.
회수된 PHA 제품은 유기물 분해과정을 거쳐 일부는 에너지원으로, 나머지는 다시 새로운 제품을 만드는 데 사용되며 재자원화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문상권 CJ제일제당 부장은 “민간기업이나 사용 후 제품을 별도로 수거하기는 어렵다”며 “분류 선별사 분야에 기업의 진입이 어려워 공공영역의 힘을 빌려야하는 단계다”고 말했다.
플라스틱 문제해결을 위한 공론장에 소비자의 참여가 부족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시민단체 목적소비자연대의 관계자는 “플라스틱 문제 관련해 산업 체계 중심으로 토론을 준비하는 거 같다”며 “소비자와 정부, 기업 함께 이야기해야 성공적 플라스틱 저감의 기반이 마련되지 않겠냐”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관계자는 플라스틱 제품의 생산이 너무 많아 생산을 줄이는 것이 본질적으로 플라스틱 문제의 해결하는 방안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이민종 LG화학 서큘러사업개발 담당은 물론 플라스틱 생산을 줄여야 한다는 지적에 공감하는 부분도 있다”면서도 “일부에서 바라는 데로 오는 11월 국제 플라스틱 협약에서 현재보다 크게 줄어드는 수준에서 생산량이 결정된다면 관련 기업이 유지되기가 힘들어진다”며 현실적 어려움을 토로했다.
그러면서 이민종 담당은 “30~40년 전 만든 반응기를 가지고 화학제품을 생산하고 있는데 앞으로 이런 시설을 늘리기보다 이제 대체 바이오 유해의 원료, 리사이클 원료를 더 확보한다던지의 전략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신재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