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화학·에너지

중국업체 '전고체 배터리' 최초 양산 주장, 삼성SDI 목표 시점보다 4년 앞서

김용원 기자 one@businesspost.co.kr 2023-05-23 17:16:35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중국업체 '전고체 배터리' 최초 양산 주장, 삼성SDI 목표 시점보다 4년 앞서
▲ 중국 간펑리튬이 전고체 배터리 대량생산을 시작했다고 발표했다. 간펑리튬이 생산하는 배터리 이미지.
[비즈니스포스트] 세계 3대 리튬 채굴업체이자 전기차 배터리 제조사인 중국 간펑리튬이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 대량생산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삼성SDI를 비롯한 한국 주요 배터리업체가 전고체 배터리 양산을 목표로 한 시점보다 크게 앞서나가고 있는 것이다.

23일 중국 전기차 전문지 CNEV포스트에 따르면 간펑리튬은 1세대 전고체 배터리 양산을 시작했다고 발표했다.

간펑리튬이 제조하는 전고체 배터리는 1kg당 260Wh(와트시) 수준의 밀도를 갖추고 있으며 연간 생산 능력은 4GWh(기가와트시)에 이른다. 전기차 약 6~8만 대에 탑재 가능한 물량이다.

전고체 배터리는 2차전지 핵심 소재인 전해질을 액체가 아닌 고체로 구성해 에너지 밀도를 높이고 폭발과 화재 위험도 낮출 수 있는 차세대 기술이다.

삼성SDI가 2027년 전고체 배터리 양산을 목표로 기술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도 이를 중장기 핵심 과제로 두고 연구개발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

간펑리튬이 한국 배터리 3사보다 훨씬 먼저 전고체 배터리 대량생산을 시작하면서 앞서나가고 있는 셈이다.

이번에 양산이 시작된 전고체 배터리는 간펑리튬이 2021년에 생산 계획을 발표한 제품이다.

간펑리튬은 2016년부터 전고체 배터리 연구센터를 설립하고 2017년에는 시험 생산라인도 구축하는 등 일찍부터 이와 관련된 기술 투자를 확대해 왔다.

전기차 배터리시장에서 간펑리튬은 CATL과 BYD 등 다른 중국업체와 비교해 인지도가 높지 않다.

반면 전 세계 리튬 채굴업체 가운데 시가총액 1위, 생산량 기준으로 3위권 안팎을 차지하고 있어 전기차 배터리 공급망에 핵심 기업으로 꼽힌다.

간펑리튬은 직접 전기차 배터리사업에 진출해 핵심 소재인 리튬 채굴사업과 시너지를 내겠다는 계획을 두고 배터리 기술 개발과 생산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

중국 둥펑자동차는 이미 지난해 초 간펑리튬의 전고체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를 소량으로 생산한 적도 있다.

그러나 간펑리튬이 이번에 양산을 시작한 전고체 배터리는 회사의 주장과 달리 반고체 배터리에 가까울 뿐 진정한 전고체 배터리로 보기 어렵다는 시각도 나온다.

에너지 밀도가 현재 시장에 출시되고 있는 신형 전기차 배터리와 크게 차이나지 않는 수준이라 전고체 배터리의 뚜렷한 장점을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1세대 전고체 배터리 물량의 대부분은 전기차가 아닌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분야에 주로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간펑리튬은 앞으로 에너지 밀도가 1kg당 최대 400Wh에 이르는 2세대 전고체 배터리를 양산하고 전기차용으로 공급하겠다는 계획도 세우고 있다.

CATL이 최근 공개한 반고체 배터리가 이론상 1kg당 500Wh의 밀도를 갖추고 있다는 점에 비춰보면 간펑리튬의 전고체 배터리가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기는 역부족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하지만 간펑리튬이 꾸준한 기술 발전을 통해 에너지 밀도를 높여 나간다면 전고체 배터리에서도 글로벌 시장 주도권이 중국 업체로 넘어갈 수 있다는 전망이 고개를 든다. 김용원 기자

최신기사

SSG닷컴 '차은우 부캐 매직' 끈이라도, 최훈학 갈 길이 멀지만 한 걸음 내딛다
유바이오로직스, 질병관리청 mRNA 백신개발 지원사업에 뽑혀
[이주의 ETF] 키움투자자산운용 'KIWOOM 글로벌투자모빌리티' 8%대 올라 상승률..
LG엔솔 주축 LG컨소시엄, 인도네시아 정부와 11조 규모 배터리 프로젝트 철회
스마일게이트 게임사 3강 도약, 크로스파이어 의존 탈피가 지속성장 열쇠
한화에어로스페이스 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주당 75만7천 원에 총 1조3천억
중소기업 대출 조이는 4대 시중은행, 미국 상호관세 우려에 건전성 관리 강화
코스피 기관 순매수에 2480선 돌파, 코스닥도 상승 마감
삼성전자와 기아 인도 정부의 세금 추징에 불복 전망, "무리한 세수 확보"
엑스알피 가격 저항선 돌파 뒤 급등 가능성 제기, 비트코인 1억2242만 원대
Cjournal

댓글 (5)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
골리앗
무뢰한을 혼돈과 착각에 빠트리는 유인성 허위 보도 덕분에...
잘못된 투자로 돈날리는 투자자가 속출하는 현실이 웃프네요.
껍데기만 고체이고 속의 전해질은 여전히 액체인 전고체가 어디 있는가?
에너지 밀도가 260wh/kg는 기존의 리튬이온전지의 255wh/kg과 차이가 없네.
회사가 제시한 260도 믿을 수가 없겠네.
   (2023-06-07 13:08:39)
빡큐
열대분 양산인가
백대분 양산인가
시진핑이네
   (2023-05-25 02:46:10)
이건뭐
이도 저도 아닌 배터리 양산 소식   (2023-05-24 11:20:08)
짱캐
중국 정부 경재 통계도 안민는데….    (2023-05-24 09:43:19)
김리튬
혹시 타임머신이나 멀티버스 베터리는 개발 안했나요?   (2023-05-24 09: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