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에서 빈번하게 나오는 노동자 사망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노후화한 포항제철소와 광양제철소의 정비비 확대가 절실해 보인다.
포스코가 포항과 광양제철소 정비비를 늘리지 않는다면 산업재해도 계속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27일 포스코에 따르면 포항제철소는 1973년, 광양제철소는 1987년 설립돼 운영을 시작한 지 각각 50년과 30년이 넘었다.
포항제철소는 1973년 제1기 설비를 준공한 이후 1981년에 4기 주요 설비 확장공사를 마쳤다.
광양제철소는 1987년 제1기 설비공사가 완공됐고 1992년에 제4기 주요설비 확장사업을 끝냈다.
포항제철소나 광양제철소의 주요 설비 대부분이 30년 이상 된 셈이다.
포스코의 두 제철소에서 최근 산업재해가 늘어났는데 설비 노후화가 대표적 원인으로 꼽힌다.
최정우 포스코 대표이사 회장도 지난 2월22일 국회 산업재해 청문회에서 산업재해 원인과 관련해 “현재 포스코 제철소가 50년이 넘는 노후시설이 많다”며 “노후시설에 의한 요인 이외에 관리 감독자의 관리감독 노력이 부족했던 것 같다”고 말했다.
하지만 포스코는 최근 들어 정비비를 오히려 줄이고 있다.
정비비는 생산시설 등 기계설비와 관련해 현상유지를 위한 필수비용을 말한다. 포항제철소와 광양제철소의 설비가 오래된 만큼 현상유지를 위해서는 정비비가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많이 필요해질 수밖에 없다.
포스코가 노웅래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9년과 2020년 정비비는 각각 1조3592억 원, 1조4113억 원으로 집계됐다.
2011년부터 2020년까지 평균 정비비가 1조4361억 원인데 이와 비교하면 2019년과 2020년의 정비비는 평균치보다 적게 사용됐다.
같은 기간 포항제철소와 광양제철소의 산업재해 발생건수도 늘었다.
포스코에 따르면 포항제철소와 광양제철소에서 2019년 2020년 각각 17건과 15건의 산업재해가 발생했다.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연평균 11.8건을 훌쩍 웃도는 수치다. 2018년 7월
최정우 회장 취임 뒤 포스코에선 노동자가 11명이나 죽었다.
이에 포스코가 노동자 안전을 위해 정비비 확대에 힘을 줘야한다는 목소리가 정치권과 노조에서 나온다.
포스코는
최정우 대표이사 회장이 취임한 이후 안전관련 특별예산을 편성해 운영했다고 하지만 정작 정비비를 줄이면서 안전예산을 부풀려서 발표한 게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된다.
더불어민주당 노웅래 의원실 관계자는 "안전투자와 관련한 항목을 따져보기 위해 포스코에 청문회 이후 구체적 자료를 제출하라고 요구했지만 여러 항목이 혼재된 부실한 자료만이 제출됐다”고 말했다.
이대로라면 포스코에서 어떤 사고가 또 터져도 이상하지 않다고 노웅래 의원실은 바라본다.
포스코 노조 관계자는 “포항제철소나 광양제철소에서 산업재해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것은 설비노후화와 함께 회사의 무리한 인력감축도 원인이 됐다”며 "정비비 예산을 늘려 인력을 보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
최정우 회장이 2018년부터 3년 동안 1조1천억 원을 안전예산에 투자하겠다고 했지만 현장에는 별도의 예산이 내려오지도 않았고 현장노동자가 원하는 안전시설 개선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포스코는 주기적으로 설비관리기준을 운영해 개선작업을 수행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포스코 관계자는 “주기성 설비관리기준을 운영하면서 각 제철소에서 주기적 진단과 개선작업을 수행하고 있다”며 “올해를 포함해 앞으로도 설비 강건화를 위해 투자를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은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