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마이크론을 겨냥한 중국의 무역보복이 한국 반도체기업까지 확산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분석이 나왔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메모리반도체 생산공장. |
[비즈니스포스트] 중국 정부가 미국 반도체기업 마이크론을 겨냥해 내놓은 무역보복 조치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다른 업체를 대상으로 확산될 가능성은 낮다는 분석이 나온다.
해외 국가에 반도체 수입을 크게 의존하고 있는 중국이 폭넓은 규제를 실시하기에는 한계가 있고 오히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반도체가 마이크론의 물량을 대체하는 데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10일 “중국이 미국을 상대로 반도체 무역보복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핵심 ‘타깃’을 선정하는 데는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 정부는 최근 마이크론이 정보 보안 문제와 관련해 중국의 안보를 해칠 가능성이 확인되었다는 이유를 들어 당국 차원의 조사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미국이 중국 반도체 산업을 겨냥한 수출규제 등 압박에 나서자 중국이 보복 차원에서 조사를 실시하는 것이라는 분석이 유력하게 나온다.
당국의 조사 결과 마이크론의 혐의가 인정되면 거액의 벌금을 내거나 중국에서 반도체를 판매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마이크론을 대상으로 한 중국 정부의 견제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한국 반도체기업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었다.
중국 정부는 이전에도 마이크론을 대상으로 독점규제 위반 혐의를 들어 정식으로 조사에 나섰는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대상에 포함되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중국을 최대 시장으로 둔 만큼 중국이 반도체 판매 규제 가능성을 내세워 한국과 미국의 반도체 및 경제 협력에 대한 사실상의 경고를 내릴 수 있다는 분석도 고개를 들었다.
그러나 파이낸셜타임스는 중국 정부의 이러한 움직임이 한국 반도체기업 대신 마이크론을 유일한 대상으로 놓을 가능성이 유력하다고 바라봤다.
중국 정부가 마이크론의 반도체 수입을 금지해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물량으로 이를 충분히 대체할 수 있다고 판단한 만큼 마이크론을 타깃으로 잡았을 공산이 크다는 것이다.
마이크론이 주력으로 하는 D램과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반도체 제품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반도체사업에도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핵심 사업에 해당한다.
중국 고객사들이 마이크론의 반도체를 구매할 수 없게 돼 생기는 공백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서 충분히 대체할 수 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중국에 낸드플래시와 D램 생산공장을 대규모로 운영하고 있다는 점도 중국 내 고객사 공급에 유리한 요소로 꼽힌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중국 정부가 마이크론 이외에 다른 반도체기업을 대상으로 보복조치에 나설 가능성은 낮다”며 “여전히 다른 해외 반도체기업에 의존을 낮추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보도했다.
만약 중국 정부가 엔비디아나 퀄컴 등 대체하기 어려운 기업을 대상으로 놓고 무역보복 조치를 실시한다면 이는 중국 내 IT산업에 큰 타격을 입히는 자충수가 될 수밖에 없다.
지금으로서는 마이크론이 중국에 반도체 공급을 중단해도 중국 경제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유일한 기업에 해당하는 셈이다.
증권사 번스타인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마이크론의 중국 내 메모리반도체 공급 물량을 빼앗으며 오히려 반사이익을 보기 쉬운 입장에 놓여 있다고 바라봤다.
다만 파이낸셜타임스는 마이크론 역시 중국 정부의 규제로 입을 타격은 제한적 수준에 그칠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이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은 마이크론 전체 매출의 약 11%를 차지하는 중요한 시장이지만 충분히 다른 국가에 메모리반도체 공급을 늘려 중국 고객사의 수요를 대체할 여력이 있다는 것이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미국 기업들이 중국에 생산 설비와 공급망 의존을 낮추려는 데 더욱 속도를 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미국과 중국의 갈등으로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갈수록 커져가고 있기 때문이다.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마이크론은 이미 중국 정부의 압박이 본격화되기 이전인 지난해부터 중국 상하이의 D램 설계 연구소를 닫고 미국과 인도 등지로 연구인력을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