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화학·에너지

POSCO Energy Initiated an International Lawsuit Against FuelCell Energy of U.S.

남희헌 기자 gypsies87@businesspost.co.kr 2020-04-03 10:20:00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POSCO Energy is planning to initiate an international lawsuit against FuelCell Energy, an U.S. company and former partner in fuel cell business.

According to people familiar with the issue, POSCO Energy is pursuing a legal action against FuelCell Energy for the damages its products caused.
 
POSCO Energy Initiated an International Lawsuit Against FuelCell Energy of U.S.
▲ Fuelcell Factory of POSCO Energy in Pohang. < POSCO Energy >

POSCO Energy tried to make a negotiation with FuelCell Energy regarding the matter, but finally concluded that they cannot reach an agreement.

From now on, POSCO Energy decided to make an international lawsuit about the loss which originated from deficient 'stack module' that FuelCell Energy provided.

Before making the lawsuit, POSCO Energy already received ruling from the court in January, 2020 and March, 2020 that it can proceed a provisional attachment order for 8.6 billion Korean won(including 2 billion won for the damages caused by inadequate manufacturing facility) worth of bond from FuelCell Energy.

The provisional attachment order regards to the LTSA(Long Term Service Agreement) fund that Korea Southern Power Co. Ltd(KOSPO) is paying for 20MW fuel cell power plants that FuelCell energy established in 2018.

KOSPO is supposed to be paying about 8 billon won annually to FuelCell Energy for the fuel cell equipments' operation and maintenance.

After the provisional attachment order applied, about a year and 3 months worth of revenue asset would be frozen.

"The company would ask International Court of Arbitration for the settlement of two provisional attachment orders, worth about 10 billion won." a spokesperson for POSCO Energy said.

FuelCell Energy also seem to be preparing for a lawsuit against POSCO Energy.

On February 20th, FuelCell Energy sent a cancellation notice on the contract, mentioning that POSCO Energy critically violated a license agreement.

The notice also stated that if the violation is not resolved within 60 days, the agreement would be terminated.

"FuelCell Energy's allegation is not true in most part," the spokesperson for POSCO Energy said, adding that "FuelCell Energy is the one violating the agreement and trust between two companies by trying to enter South Korean market without consulting POSCO Energy, so that we're imposing legal actions following the procedure."

The fuel cell industry shares a view that the dispute between POSCO Energy and FuelCell Energy is only at its early stage.

POSCO Energy entered fuel cell business jointly with FuellCell Energy since 2007, only to make a cumulative operating loss over 1 trillion won.

Industry experts perceive that POSCO Energy is suffering from enormous financial burden since the lifespan of 'stack', a core fuel cell component that FuelCell Energy provided POSCO Energy, found out to be shorter than expected.

포스코에너지가 연료전지사업에서 협력해온 미국 퓨얼셀에너지를 상대로 국제소송에 나선다.

3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에너지가 퓨얼셀에너지의 제품 품질문제 탓에 입은 손해를 놓고 퓨얼셀에너지를 상대로 법적조치에 나서기로 했다.

포스코에너지는 사업파트너인 퓨얼셀에너지와 그동안 협상을 진행하며 문제를 해결하려고 했지만 더 이상 해결책을 찾기 힘들다고 판단했다.

이에 포스코에너지는 퓨얼셀에너지에게 공급받은 스택모듈의 하자 탓에 입은 손해액을 놓고 국제소송 제기에 본격적으로 나서기로 했다. 

소송에 앞서 포스코에너지는 퓨얼셀에너지에게 구입한 제작설비 부실로  손해 20억 원과 품질하자에 따른 손해 86억 원에 대한 채권 가압류를 법원에 신청해 2020년 1월과 3월에 가압류 승인 결정을 받았다.

가압류 대상은 퓨얼셀에너지가 2018년 20MW 규모로 한국남부발전 신인천발전본부에 구축한 연료전지발전설비의 LTSA(Long Term Service Agreement·장기서비스계약) 대금이다.

한국남부발전이 연료전지설비의 운영과 관리를 위해 퓨얼셀에너지에게 지급하는 장기서비스계약 대금은 연간 약 80억 원으로 추정된다. 이번 가압류로 약 1년3개월 동안 매출대금이 동결될 것으로 전망된다.

포스코에너지 관계자는 “회사는 앞으로 2건의 가압류 신청을 놓고 국제중재원에 중재를 제기할 것”이라며 “중재 제기금액은 약 100억 원 정도”라고 말했다.

퓨얼셀에너지도 포스코에너지를 상대로 법적조치에 나설 조짐을 보이고 있다.

퓨얼셀에너지는 2월20일 포스코에너지가 라이선스 계약을 심각하게 위반했다며 계약해지 예고를 통보했다. 위반 사항이 해결되지 않을 경우 60일 내에 계약 해지됨을 공시하기도 했다.

포스코에너지 관계자는 “퓨얼셀에너지의 주장은 대부분 사실이 아니며 오히려 퓨얼셀에너지가 포스코에너지와 협의 없이 국내시장에 진출하려고 시도하는 등 양사간 계약과 신뢰관계를 심각하게 위반하고 있어 절차에 따라 법적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료전지업계는 포스코에너지와 퓨얼셀에너지의 법적 분쟁이 현재 시작 단계에 불과하다고 보고 있다.

포스코에너지가 2007년 퓨얼셀에너지와 손을 잡고 연료전지사업에 뛰어든 뒤 현재까지 누적된 영업손실 금액만 1조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퓨얼셀에너지가 포스코에너지에 공급한 연료전지 기술 가운데 연료전지의 핵심부품인 ‘스택’의 수명이 애초 예상보다 짧아 포스코에너지에 막대한 비용 부담을 안긴 것으로 업계 관계자들은 본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

최신기사

OECD "한국 2025년 잠재성장률 1.9%", 2022~24년 2.2%에서 0.3%..
IBK투자 "CJ프레시웨이 목표주가 유지, 3분기 이익 성장 전망"
교보증권 "에이피알 목표주가 상향, 2분기 실적 시장 기대치 크게 웃돌아"
KB증권 "GKL 목표주가 상향, 중국인 단체관광객 무비자 입국 확대에 수혜"
교보증권 "메디톡스 실적 반등, 3공장 가동률 상승으로 영업 레버리지 효과"
인공지능 분야 1793억 추경, 하나증권 "SK하이닉스 삼성전자 오픈엣지테크놀로지 주목"
KB증권 "삼양식품 목표주가 상향, 예상보다 더 큰 공급능력 확대 효과"
IBK투자 "KCC 목표주가 상향, 민간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 의무화 수혜 전망"
[리얼미터] 이재명 지지율 62.1%로 상승, 민주당 53.8% 국힘 28.8%
[데스크리포트 7월] 가덕도신공항 표류가 과연 현대건설의 책임인가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