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고체 배터리' 중국이 선점 노린다, CATL BYD 참여하는 정부 연합 구축

▲ 중국 정부가 CATL과 BYD 등 자국 주요 전기차 배터리 제조사 및 정부 기관, 학계에서 참여하는 전고체 배터리 연합체를 구축했다. 중국 간펑리튬의 1세대 전고체 배터리 참고용 이미지. <간펑리튬>

[비즈니스포스트] CATL과 BYD 등 중국 상위 전기차 배터리업체와 학계가 참여하는 정부 주도의 전고체 배터리 개발 연합체가 운영된다.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 분야에서 한국과 일본 등 경쟁 국가를 제치고 확실한 시장 선점 기회를 노리겠다는 중국 정부의 의지가 반영됐다.

13일 일본 닛케이아시아에 따르면 중국 정부에서 구축한 전고체 배터리 연합체가 전기차 시장에 기술 혁신을 주도하겠다는 목표를 두고 관련기술 개발 및 상용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중국 정부는 최근 전고체 배터리 공동연구를 위한 연합체 CASIP를 설립해 정부 기관과 학계, 관련 기업은 물론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상위 업체인 CATL과 BYD도 참여하도록 했다.

이들은 2030년까지 중국에 완전한 전고체 배터리 공급망을 구축한다는 목표를 두고 있다.

닛케이아시아는 “중국 상위 10개 배터리업체 가운데 6곳이 연합에 참여해 ‘올스타’ 라인업을 구축했다”며 “최대 라이벌인 CATL과 BYD마저 힘을 합치게 된 셈”이라고 보도했다.

전고체 배터리는 현재 상용화된 전기차 배터리에 쓰이는 액체 전해질 소재를 고체로 만들어 에너지 밀도와 전기차 주행거리를 늘리고 안전성도 개선할 수 있는 기술이다.

다만 기술적 장벽이 높아 이른 시일에 상용화를 추진하기 쉽지 않기 때문에 다수의 배터리 제조사는 물론 한국과 일본 등 여러 국가에서도 중장기 과제로 삼고 있는 분야에 해당한다.

삼성SDI와 LG에너지솔루션, SK온을 포함하는 한국 배터리 3사도 산업통상자원부와 다방면으로 협업하며 전기차용 전고체 배터리 기술을 확보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토요타와 닛산 등 자동차 제조사를 중심으로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 정부가 거대한 연합체를 구축해 전고체 배터리를 사실상 핵심 국책사업으로 삼으며 글로벌 시장 주도권을 선점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나타낸 셈이다.

중국은 CATL과 BYD 등 세계 상위권 배터리업체를 보유하고 있으며 내수시장에서 전기차 수요가 강력해 상용화 시점을 앞당기기 유리하다는 장점도 안고 있다.

그동안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전기차 등 주요 산업에 중국 정부의 강력한 금전적 지원이 이뤄졌던 사례와 같이 전고체 배터리에 상당한 정부 지원이 시행될 가능성도 충분하다.

다만 닛케이아시아는 “국가 차원에서 전고체 배터리에 전력투구하는 전략이 성과로 이어질 지는 여전히 미지수”라며 관련 기술을 확보하는 일이 쉽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토요타가 전고체 배터리와 관련해 1300건 이상의 기술 특허를 확보한 반면 중국 업체들이 보유한 특허는 100건 미만에 그친다는 사실이 근거로 제시됐다.

그러나 닛케이아시아는 중국이 목표한 대로 2030년에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에 유의미한 성과를 낸다면 일본을 비롯한 글로벌 경쟁사들이 이를 따라잡기는 어려워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내놓았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