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아베스틸이 물적분할을 통한 지주사 전환을 앞두고 배당확대와 자사주매입 등 주주친화정책을 대거 내놓고 있다.

세아베스틸은 현재 지분구조로 볼 때 주주총회에서 지주사 체제 전환 안건이 통과할 가능성이 높다. 다만 대선후보들까지 물적분할과 관련한 규제를 강화하는 공약을 내놓으면서 사회적 관심이 커지고 있다.
세아베스틸 대규모 주주친화정책 추진, 물적분할 비판 여론 피하기

▲ 세아베스틸 로고.


이에 세아베스틸은 소액주주 달래기를 통해 사회적 비판여론의 표적이 될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14일 세아베스틸에 따르면 2023년까지 현재 수준의 주주친화정책을 이어간다는 방침을 세웠다.

세아베스틸 관계자는 비즈니스포스트와 전화통화에서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배당성향(순이익에서 차지하는 배당금 비율)을 앞으로도 20% 이상으로 유지하겠다”며 “지난해 철강업황 호조에 따라 순이익 규모가 커져 올해 지급할 주당 배당금이 크게 늘어났다”고 말했다.

앞서 세아베스틸은 10일 이사회를 통해 보통주 1주당 1500원, 최대 주주 및 특수관계인은 1주에 1300원 등 차등배당을 실시하기로 의결했다. 전체 배당금 규모는 약 486억 원이다. 이는 역대 최대 수준으로 배당성향은 33.6%에 이른다.

주가 대비 배당금을 의미하는 시가배당률로 따져도 세아베스틸은 국내 전체 상장기업 가운데 10위권 안에 든다. 세아베스틸의 시가배당률은 7.4%로 코람코에너지플러스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와 함께 공동 7위다.

유가증권시장만 놓고보면 공동 5위인데 포스코(27위) 보다도 더 주주친화적 배당정책을 펼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지난해 글로벌 철강가격 상승세에 힘입어 국내 철강회사들이 대체로 좋은 실적을 거뒀지만 그 가운데서도 세아베스틸이 유독 배당금을 대폭 늘린 셈이다.

이뿐 아니라 세아베스틸은 자사주 매입 카드도 꺼내들었다. 앞서 세아베스틸은 신한은행과 50억 원 규모의 자사주를 취득하기 위한 신탁계약을 맺었다.

이런 세아베스틸의 주주친화 정책은 최근 물적분할과 관련한 여론이 악화하면서 소액주주들의 마음을 달래기 위한 행보로 보인다.

세아베스틸로서는 물적분할을 통한 지주사 체제 전환 안건을 주주총회에서 통과시키기 위해 굳이 배당을 확대할 필요는 없는 상황에 놓여 있다. 세아베스틸의 모회사인 세아홀딩스가 세아베스틸 지분을 61.7% 쥐고 있어 3월25일 열리는 정기 주주총회에서 지주사 체제 전환 안건 통과에는 크게 무리가 없다.

회사의 분할 등의 안건은 주총의 특별결의 안건으로 주주총회 참석자의 3분의 2 이상이 찬성하고 그 찬성한 주식 수가 발행주식 총수의 3분의 1 이상이면 통과된다. 세아홀딩스가 확보한 주식 수는 2213만5633주로 세아베스틸의 발행주식 총수의 3분의 1인 1195만 주보다 많다.

이런 상황에서 주주친화정책을 펴는 이유를 놓고 물적분할에 대한 여론 악화를 의식한 게 아니냐는 시선이 나온다.

회사 분할 방식에는 인적분할과 물적분할이 있다. 인적분할은 물적분할과 달리 수평적으로 기업을 분할하는 방식이라 기존 주주들은 존속 지주회사와 신설 사업자회사 지분을 모두 소유할 수 있다.

반면 물적분할은 모회사가 신설 사업회사 지분을 100% 확보해 자회사로 두는 수직적 분리 방법이다. 기업으로선 추후 사업회사를 다시 기업공개(IPO)해 추가적 자금조달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기존 모회사의 주식을 갖고 있는 소액주주는 자회사 상장으로 인해 기업가치가 하락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물적분할과 관련해 규제가 필요하다는 여론이 최근 들끓고 있다.

LG화학에서 2020년 12월 배터리 자회사 LG에너지솔루션이 물적분할할 때 소액주주의 반대 목소리가 높았고 최근 포스코의 물적분할을 통한 지주사 체제 전환을 놓고도 소액주주의 반대가 거셌다. 

이런 여론을 반영하듯 유력 대선후보들이 기업의 물적분할과 관련해 규제를 강화하겠다는 뜻을 보이면서 세아베스틸로서는 여론의 눈치를 살필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인 것으로 보인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물적분할 이후 모회사와 자회사를 동시에 상장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법령 및 규제 개정을,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는 신사업을 물적분할 할 때 모회사 주주에 신주인수권 부여하는 방안을 각각 공약으로 삼고 있다.

금융감독원도 소액주주들의 반발을 사고 있는 물적분할 이후 자회사 상장과 관련해 들여다보겠다고 한 만큼 세아베스틸로서는 소액주주를 상대로 우호적 여론을 미리 만들어두는 일이 중요하다.

현재 세아베스틸은 지주사 체제 전환 뒤 신설 철강사업회사를 상장하지 않겠다는 태도를 보이지만 시장에선 결국 투자재원 확보를 위해 철강사업자회사의 상장을 추진하게 될 것이라는 시선이 많다. 그런 만큼 여론의 표적이 되지 않도록 주주친화정책으로 미리 소액주주의 마음을 달래는 일이 중요한 셈이다.

정은보 금융감독원 원장은 9일 기자들과 만나 물적분할 논란을 놓고 “소액투자자들에 대한 보호의 문제”라며 “해당 부분은 자본시장법뿐만 아니라 상법도 개정될 수 있어 현재 관련제도 개선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은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