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전 의원은 내년 재보선이 서울시장과 부산시장을 선출하는 '큰 판'이 됐다는 점을 들며 선거에 승리하려면 끝까지 임기를 마칠 당대표가 필요하다는 점을 꾸준히 강조하고 있다.
김 전 의원은 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 사태가 발생한 뒤 이 의원보다 적극적 움직임을 보였다.
김 전 의원은 고 박 전 시장의 발인을 마친 뒤인 14일부터 진상조사, 재보선 후보자 공천, 대국민 사과 등 적극적으로 의견을 개진했다.
15일에는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고 박 전 시장 관련 진상조사 문제를 놓고 “아직 한쪽 당사자의 이야기만 있는데 객관적 기관에서 진상조사를 할 필요가 있다”며 “(진상조사를 맡을 기관은) 서울시인권위원회 혹은 인권위원회 정도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14일 울산에서 연 기자간담회에서도 2021년에 치러질 재보궐선거와 관련해 “다음에 치러지는 대통령선거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선거”라며 “필요하다면 당 지도부가 솔직하게 국민에게 경과를 설명 및 사과하고 당헌 문제를 정리한 뒤 다음 정치에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대선주자로서 입지를 살펴봐도 이 의원이 놓인 상황은 녹록지 않아 보인다.
당대표 선거가 한달 남짓 남은 만큼 이 의원이 전당대회에 집중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지만 여론조사 1위를 달리는 대선후보치고는 존재감이 부각돼 보이지 않는 것도 사실이다.
반면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16일 대법원의 판결을 통해 정치적 족쇄에서 풀려나면서 거센 추격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이 지사는 8일 발표된 한길리서치의 다음 대선후보 지지율 조사에서 이 의원과 지지율 차이를 한 자릿수 이내로 좁히는 등 이 의원을 바짝 추격하고 있다.
각종 현안을 놓고도 이 지사는 분명한 목소리를 내며 존재감을 보이고 있다.
이 지사는 17일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부동산 문제의 해법을 놓고 “부동산을 규제하는 데는 원칙이 있다”며 “주택은 가격보다 숫자(다주택 보유)를 줄여야 하고 숫자보다 더 중요한 게 실거주 여부”라고 말했다.
이 지사는 앞서 부동산 보유세의 일부를 기본소득으로 지급하는 방안을 더불어민주당에 제안하기도 했다.
이낙연 의원이 말을 삼가는 것을 두고 지나치게 대세론을 의식하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높은 지지율을 의식하다보니 예민한 문제를 피해간다는 것이다.
하지만 정치권 일각에서는 정치인이 현안에서 목소리를 내지 않으면 존재감이 약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의원의 신중 모드가 장기적으로 불리한 결과로 되돌아오 수 있다고 본다.
정치권 관계자는 “내년 재보선의 판이 커지는 등 이 의원에게 부정적 상황이 이어지고 있는 만큼 현재 정치적 위치를 지키려면 지금보다는 적극적 태도를 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