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승우
-
삼성서울병원원장
1962년심장질환 분야 권위자, 연임 발판 첨단 지능형 병원 구축에 집중 [2025년]
박승우는 삼성서울병원의 원장이다.
병원 정보화와 스마트 병실 혁신을 통한 첨단 의료 환경 구축에 주력하는 한편, 미래 대응을 위한 ‘넥스트 노멀 프로세스’에 대비하고 있다.
1962년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의학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병원에서 수련의와 전공의 과정을 마치고 서울대병원과 서울시립보라매병원에서 내과 전임의와 전담의로 일했다.
삼성서울병원에 합류한 뒤 미국 메이요클리닉에서 연수했다.
삼성서울병원에서 정보전략실장, QI실장, 기획총괄 겸 기획실장을 거쳐2021년 원장이 됐다.
심장질환 분야의 권위자로 한국심초음파학회 이사장과 대한심장학회 스마트헬스연구회장, 대한병원협회 부회장으로 활동했다.
◆ 경영활동의 공과
박승우 삼성서울병원장이 2025년 3월4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규모 의료 IT컨퍼런스 ‘HIMSS 2025’에서 기조 연설을 하고 있다. <삼성서울병원>
△세계 의료IT컨퍼런스 기조연설서 디지털 혁신 강조
박승우는 2025년 3월4일(현지 시각)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의료IT컨퍼런스 ‘HIMSS 2025’에 참석해 ‘미래 의료의 방향’을 주제로 기조연설을 했다. HIMSS 컨퍼런스에서 아시아 지역 병원장이 기조연설을 맡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HIMSS측은 박승우에게 한국 의료의 IT 기술력..
관련기사

- 신승영
-
에이텍대표이사 회장
1955년 1월 15일PC공공조달 국내 톱3업체, 사업재편 통해 세계 톱3 ATM 기업 목표 [2025년]
신승영은 에이텍의 대표이사 회장이다.에이텍모빌리티와 에이텍씨앤, 에이텍에이피의 대표이사도 맡고 있다.
금융자동화기기(ATM)로 사업을 재편한 뒤 해외시장 확대에 힘을 쏟고 있다.
1955년 1월15일 경상북도 영주에서 태어났다.
영주 영광고등학교와 영남대학교 전자공학과를 졸업했다.
금성사에서 품질과 시스템 검사 업무를 담당했다.
1989년 컴퓨터 유지보수 사업을 하는 에이텍시스템을 설립한 뒤 상화를 에이텍으로 바꿨다.
LCD PC 완제품 시장에 진출한 뒤 공공조달 사업에서 성장기반을 마련했다.
신기술기업협의회 회장으로 활동했다.
직원들의 교육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 경영활동의 공과
신승영 에이텍 대표이사 회장. <에이텍모빌리티>
△에이텍의 사업
2024년 말 현재 에이텍의 연결대상 종속회사는 해외법인(베트남, 미국) 2개다.
에이텍과 종속회사들은 금융자동화기기(ATM)를 만드는 사업을 한다. 2024년 매출액 중 87.2%가 ATM 제품과 관련 상품에서 나왔다. 나머지는 임대 매출 6.8%, 기타 5.5%, 용역 0.5% 등이다.
2024년까지 에이텍은 컴퓨터(PC)와 모니터 등 IT 사무기기 제조판매 사업이 주 영역이었다. 특히 국내 공공기관용 PC 조달시장에서 삼보컴퓨터, 대우루컴즈와 함께 ..
관련기사

- 이동환
-
제이브이엠대표이사 부사장
1969년 2월 9일 (양력)LG전자,표준협회 거친 제조·품질관리 전문가, 해외 약국자동화 시장 확대 주력 [2025년]
이동환은 제이브이엠의 대표이사 부사장이다.
약국자동화시스템의 해외 시장 개척, 포트폴리오 다변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1969년 2월9일 태어났다.
부산대학교 화학공학과를 졸업하고 부산대학교 대학원에서 지능기계시스템 석사학위를 받았다.
LG전자에 입사해 제조와 품질관리 분야에서 근무했다.
LSS컨설팅과 코리아스탠다드앤컨설팅유나이티드에서 컨설턴트로 일하다세화전자에서 생산공장장을 맡았다.
제이브이엠에 합류해 제조품질 본부장을 거쳐 2023년 대표이사에 선임됐다.
품질관리 전문가로 기술개발에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 경영활동의 공과
이동환 제이브이엠 대표이사 부사장(왼쪽)이 2024년 11월27일 제16회 대한민국코스닥대상 시상식에서 기술개발기업상을 수상한 뒤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제이브이엠>
△제이브이엠의 지배구조
제이브이엠은 약국 자동화 시스템 전문 회사다. 의약품의 조제·관리·분류·포장 등을 자동화하는 장비 및 관련 소프트웨어를 제조하고 있으며 그 외 파우치 등 소모품도 생산한다.
주요 제품으로는 전자동 정제 분류 및 포장 시스템 ATDPS을 비롯 전자동 정제 포장 검수 시스템 VIZEN EX, 전자동 조제 커팅 및 와인딩 시스템 WIZER, 전자동 약품 관리 시스템 INTIPharm, 로봇자동화 약품 분류·포장 시스템 MENITH 등이 있다,
제..
관련인물

- 박근노
-
나인테크대표이사
1970년 2월 25일 (양력)LG디스플레이 엔지니어 출신, 이차전지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 주력 [2025년]
박근노는 나인테크의 대표이사다.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을 확대하는 한편, 신소재 맥신(MXene)과 반도체 유리기판용 장비 사업에 관심을 두고 있다.
1970년 2월25일 태어났다.
경북대학교 기계공학과를 졸업했다.
LG디스플레이에서 직장생활을 시작했다.
디엠에스(DMS) 개발팀장을 거쳐 삼한일렉트로닉스에서 개발이사로 근무했다.
2006년 경기도 평택에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 장비를 만드는 나인테크를 설립했다.
2차전지 조립공정 장비로 사업영역을 확장했고 2022년 탈로스를 인수했다.
◆ 경영활동의 공과
박근노 나인테크 대표이사(오른쪽)가 2024년 11월26일 서울 엘타워에서 열린 ‘2024 벤처천억기업’ 기념식에서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으로부터 벤처 천억기업 선정 기념패를 수상하고 있다. <경기벤처기업협회>
△나인테크의 사업
2024년 말 현재 나인테크의 연결대상 종속회사는 국내 업체인 탈로스 한 곳이 있다. 계열사는 없다.
나인테크와 종속회사 탈로스는 이차전지와 디스플레이 공정 장비, 군수용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만드는 사업을 한다.
먼저 이차전지 장비로는 조립공정에서 사용되는 라미네이션(Lamination) 장비와 스태킹(Stacking) 장비를 만든다. 조립공정은 파우치나 원통형 배터리의 형태를 만드는 단계다. 라미네이션 장비는 양극..
관련인물
관련기사

- 김현태
-
보로노이대표이사
1976년 11월 (양력)증권맨 출신으로 정밀표적치료제 개발 바이오업체 인수, 시총 2조 기업 일궈 [2025년]
김현태는 보로노이의 대표이사다.
연구개발을 책임지고 있는 김대권 대표이사와 함께 각자대표이사 체제로 회사를 이끌고 있다.
1976년 11월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MBA과정을 마쳤다.
동양증권에서 직장생활을 시작한 뒤 삼성자산운용에서 해외펀드를 운용했다.
KB증권과 한화투자증권, 이베스트투자증권에서 자산운용 업무를 담당했다.
2016년 동생이 설립해 운영하고 있는 정밀 표적 치료제 기업 보로노이의 지분을 인수하면서 경영권을 확보했다.
자체 개발한 AI 플랫폼과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신약 후보물질을 발굴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 경영활동의 공과
김현태 보로노이 대표이사(왼쪽)가2017년 4월13일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국립암센터, 보로노이간 뇌암 줄기세포 표적치료제 기술이전 협약식에서 협약서에 서명하고 있다.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보로노이의 지배구조
보로노이는 정밀 표적 치료제 설계와 개발을 전문으로 하는 바이오텍 기업이다. 주로 폐암 및 유방암 등 항암제 분야 표적치료제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보로노이는 임상 2a상 이전에 기술이전하는 방식을 주력사업으로 하며 대부분 매출이 기술이전을 통해 발생하고 있다.
보로노이는 2015년 2월 김현태의 동생인 김현석 이사가 안응남 감사와 설립한 회사다. 당시 김현석이 최대주주였다.
2025년 4월 현재 김현석은 보로노이 ..
관련인물
관련기사

- 안병두
-
신성에스티대표이사 사장
1968년 3월 16일 (양력)35년 금형기술 전문가, ESS용 배터리 부품 북미 진출 매출 1조 목표 [2025년]
안병두는 신성에스티의 대표이사 사장이다. 이사회 의장도 맡고 있다.
북미 시장 진출을 확대하면서2차전지 제품 고도화에 주력하고 있다.
1968년 3월16일 태어났다.
경남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동아정밀에서 총괄이사로 근무했다.
2004년 동아부품을 설립한 뒤 두성테크윈으로 사명을 바꿨다.
반도체 도금사업에공격적으로투자하다 글로벌 금융위기 때 부도를 맞아신성델타테크에 회사를 매각했다.
회사를 매각한 이후에도전문경영인으로계속 회사를이끌고 있다.
◆ 경영활동의 공과
안병두 신성에스티 대표이사 사장이 2023년 10월4일 코스닥 상장을 앞두고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신성에스티의 성장 전략을 설명하고 있다. <신성에스티>
△신성에스티의 사업분야
신성에스티는 전기자동차(EV),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배터리부품 사업을 주력으로 하고 있다. ESS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해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변동성이 큰 재생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전력망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데이터 센터 등의 비상 전력 공급의 중요성이 더 커지고 있어 ESS 역할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신성에스티는 2004년 두성테크원으로 설립돼 2005년 법인 전환했으며, IT 소형정밀제품 사업을 해왔다.
2023년 10월19..
관련인물
관련기사

- 박형세
-
LG전자MS사업본부장 사장
1966년 4월 18일 (양력)마케팅 외길 '마케팅 전문가', TV 넘어 플랫폼으로 체질전환에 전력 [2025년]
박형세는 LG전자의 MS(Media Entertainment Solution)사업본부장 사장이다.
LG전자의 TV 사업을 미디어와 엔터테인먼트 중심의 서비스 플랫폼 사업으로 전환하는 데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스마트 TV 중심이던 웹OS 적용 제품을 모니터, 사이니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으로 확대하며 서비스 영역 확장에 나서고 있다.
1966년 4월18일 태어났다.
미국 존글렌고등학교와 미시간주립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인디애나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LG전자에 입사해 DTV북미그룹장과 TV북미마케팅담당, IT마케팅담당, HE해외영업그룹장을 거쳤다.
HE사업본부장을 맡은 뒤 2023년 사장으로 승진했다.
'할 말은 하는' 성격의 소유자로 원칙을 중시한다.
◆ 활동의 공과
박형세LG전자 HE사업본부장 사장이 2024년 9월27일 인천 중구 인천파라다이스호텔에서 열린 '웹OS 서밋 2024'에서 중장기 사업 전략과 미래비전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2025년 1분기 원가·마케팅비 증가에 부진
LG전자는 2025년 1분기 연결기준 매출 22조7398억 원, 영업이익 1조2591억 원을 기록했다고 4월24일 밝혔다.
매출은 1분기 기준 역대 최대 수치이며, 영업이익은 6년 연속 1조 원을 웃돌았다.
TV를 포함해 미디어와 엔터테인먼트 플랫폼 사업을 담당하는 M..
관련인물

- 최문호
-
에코프로비엠대표이사 사장(CTO)
1974년 4월 15일 (양력)실적 적자에 맞선 기술 드라이브, 차세대 양극재 앞세워 돌파구 모색 [2025년]
최문호는 에코프로비엠의 대표이사 사장이다. CTO도 겸하고 있다.
세계이차전지 소재 1위 기업도약을 목표로생산력 제고와 시장점유율 확대에 집중하고 있다.
1974년 4월15일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화학공학과를 졸업하고한양대학교 대학원에서 산업공학석사학위를 받았고,한양대학교 대학원에서 에너지공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제오빌더, 아신기술을 거쳐에코프로에 입사했다.
에코프로에서 전지사업을 담당하다에코프로비엠으로 옮겨개발본부장을 맡았다.
CTO를 겸직하다2022년 각자 대표이사 사장에 선임됐다.
엔지니어 출신 경영자로 차별적인 기술력을 확보하면서원가 절감을 추진하고 있다.
◆ 경영활동의 공과
최문호 에코프로비엠 대표이사가 2025년 3월5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인터배터리 2025’에 참석 전 도어스테핑(약식 회견)을 갖고 있다. <연합뉴스>
△에코프로비엠의 사업분야
에코프로비엠은 2차전지 양극활물질관련 소재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하는 기업이다.
2025년 4월 17일 기준 에코프로비엠의 약 50.33% 지분은 모회사인 에코프로가 보유하고 있다.
에코프로비엠은 니켈, 코발트, 망간 등을 주원료로 하는 다양한 종류의 양극활물질을 개발 및 생산한다. 이 물질들은 전기차(EV),..
관련인물

- 박찬대
-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1967년 5월 10일 (양력)성실하고 성품 좋아, '내란 완전 진압'과 정권교체 노려 [2025년]
박찬대는 더불어민주당의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다.
민주당이 6·3 조기 대선에서 승리할 수 있도록 안정적 당을 운영하는 데 주력하는 한편, 다른 진보세력들과 연대에 관심을 두고 있다.
1967년 5월10일 인천 미추홀구에서 태어났다.
인천 동인천고등학교와 인하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세동회계법인에서 회계사로 근무하다 삼일회계법인,금융감독원, 한미회계법인을 거쳤다.
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인천연수구갑에 출마한 이후 22대 총선까지 세 번 연속 당선됐다.
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 정책위원회 선임부의장, 원내정책수석부대표, 최고위원을 거쳐 2024년 원내대표로 선출됐다.
이재명 민주당 대선후보의 '최전방 수비수'라는 평을 듣고 있다.
◆ 활동의 공과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대대표(오른쪽)가 2025년 3월20일 국회의장실에서 국민연금 개혁안에 합의한 뒤 합의문을 들고 우원식 국회의장(가운데),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와 함께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연합뉴스>
△민주당 대선 경선규칙 개정 이끌어
박찬대는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직무대행으로서 당의 대통령 선거 경선 룰을 담은 특별당규 개정안 의결을 이끌었다.
민주당은 2025년 4월14일 중앙위원회를 열어 권리당원 투표 50%와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를 합산해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를 선출하는 경선룰을 ..

- 고성욱
-
코콤회장
1949년 7월 4일 (양력)스마트 홈 시스템 업체 창업주, 드론 탐지·무력화 기술 신사업 추진 [2025년]
고성욱은 코콤의 회장이다.
스마트 홈 시스템 업체인 코콤의 창업주다.
1949년 7월14일 경상북도 문경에서 태어났다.
경북 문경고등학교와 일본 국제대학교 전자공학과를 졸업했다.
화신쏘니와 삼영전자에서 경력을 쌓은 뒤 1976년 한국통신(현 코콤)을 세웠다.
2024년 3월 장남에게 경영권을 물려주고 대표이사에서 물러났다.
50년 동안 홈 네트워크 시스템 분야 외길을 걸었다.
드론 탐지·무력화 기술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보고 있다.
◆ 경영활동의 공과
고성욱 코콤 회장이 본사 쇼룸에 설치된 스마트홈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코콤>
△코콤의 사업
2024년 말 현재 코콤의 연결대상 종속회사와 계열사는 없다.
코콤은 스마트 홈 시스템 사업을 전문으로 하는 전자통신기기 기업이다. 그밖에 폐쇄회로텔레비전(CCTV), 시스템 통합(SI) 솔루션 사업을 한다. 사업부문은 주택설비, CCTV, 솔루션 등 3개 부문으로 구분한다. 2024년 매출액 기준으로 주택설비 부문이 75%로 3분의 2 이상을 차지하며 솔루션 24%, CCTV 1% 등의 비중을 보인다.
핵심 제품으로는 스마트 홈 사물인터넷(IoT) 시스템, 홈 시큐리티 시스템, 비디오폰, 인터폰·도어폰, 도어락, LED 조명, CCTV, 첨단 보안 솔루션 등이 ..
관련인물
관련기사

- 홍원학
-
삼성생명대표이사 사장
1964년 7월 10일'초격차' 전략으로 생보업계 1위 입지 굳혀, 삼성화재와 시너지 창출 과제 [2025년]
홍원학은 삼성생명의 대표이사 사장이다.
변화하는 생보시장에서 고수익을 달성하며 업계 1위 자리를 굳히고 있다.
1964년 7월10일 서울에서 태어났다.
용산공업고등학교와 고려대학교 일어일문학과를 졸업했다.
삼성생명에서 직장생활을 시작해 삼성전자에서 경영전략팀 상무를 지냈다.
삼성생명으로 돌아와 인사팀장 전무, 특화영업본부장 전무를 거쳐 삼성생명 부사장으로 승진했다.
2020년 삼성화재로 자리를 옮긴 뒤 2021년 대표이사 사장에 선임됐다.
2024년 3월 삼성생명 대표이사 사장이 됐다.
직전까지 사장을 맡았던 삼성화재가 자회사로 편입된 만큼 시너지 창출을 통한 실적제고의 과제를 안고 있다.
차분하고 꼼꼼한 성격으로 의사결정에 신중을 기하는 스타일이다.
◆ 경영활동의 공과
홍원학 삼성화재 대표이사 사장이 2023년 1월26일 삼성화재 본사에서 열린 비전 선포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삼성화재>
△2024년 순이익 2조 원 이상 거둬
삼성생명은 2024년 연결기준 순이익 2조1068억 원의 실적을 거뒀다. 2023년보다 11.2% 늘었다.
배당수익 증가와 금리 하락에 따른 부채 부담이자 감소 등으로 투자손익이 1년 전보다 큰 폭으로 개선된 결과다.
영업이익은 2조4997억 원을 냈다. 보험영업(서비스)수익과 투자영업(서비스)수익을 더한 매출은 33조7860억 원을 거뒀다.
삼성생명은 2024년 2조 원이 넘는 순이익으로 생명보험업..

- 뤄즈펑
-
유안타증권 대표이사 사장
1969년도전적·적극적인 대내외 행보, 실적 반등은 과제 [2025년]
뤄즈펑(羅志鵬)은 유안타증권의 대표이사 사장이다.
1969년 대만에서 태어났다.
홍콩 금융업계에 활동하면서 국적을 홍콩으로 바꾸었다. 영문명은 아서 로(Aurthur Lo)다.
국립 타이완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펜실베니아대학교 와튼 스쿨에서 MBA과정을 마쳤다.
JP모건, 크레딧스위스퍼스트보스턴, 오리엔탈엑설런트증권, 노무라증권, 퍼시픽스타뉴욕헤지펀드, 유안타증권, KGI증권, 엘리타임즈자산운용, 선샤인자산운용에서 근무했다.
대만의 거대 금융그룹인 유안타그룹의 네트워크를 활용해 유안타증권을 아시아 전문 증권사로 키우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경영활동의 공과
뤄즈펑 유안타증권 대표이사 사장(왼쪽)이2024년 10월21일 유안타증권 VIP 초청 자선 프로암대회에서 기부금을 기탁한 뒤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유안타증권>
△실적 소폭 반등
뤄즈펑 취임 이후 유안타증권의 순이익이 소폭 반등했다.
유안타증권은 2024년 연결기준 영업이익 947억 원, 순이익 730억 원을 거뒀다.
영업이익은 약 27% 감소했으나 순이익은 약 13% 증가했다.
2024년 우리나라 증권업계는 미국을 중심으로 한 해외주식 위탁매매가 성패를 좌우했다. 특히 미래에셋증권, 키움증권 등 리테일(개인금융)의 전통적 강자인 대형 증권사들의 실적이 크게 상승했다.
하지만 유안타증권은 중소형 증권사의 한계로 소폭의 순이익 증가에 그친 것으로 풀이된다.
뤄즈펑은 유안타그룹의 ..
관련인물

- 김인
-
새마을금고중앙회 회장
1952년 11월 6일지역과 중앙회 양쪽에서 잔뼈 굵어, 신뢰회복 최우선 과제 [2025년]
김인은 새마을금고중앙회의 회장이다.
편법 대출 및 전임 회장 금품수수 사태로 추락한 새마을금고의 신뢰 회복에 힘쓰고 있다.
1952년 11월6일 태어났다.
서울 경복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을 졸업했다.
남대문시장주식회사 회장과 남대문새마을금고 이사장을 지냈다.
새마을금고중앙회 부회장을 거쳐 새마을금고중앙회 회장 직무대행을 맡다가 2023년 12월 새마을금고중앙회 회장에 당선됐다.
박차훈 전 회장이 사임한 뒤 보궐선거에서 당선된 만큼 조직 안정에 공을 들이고 있다.
뱅크런을 비롯한 금고부실 문제까지 불거진 가운데 구조조정과 이사장 직선제 선거를 통해 조직 쇄신에도 힘을 주고 있다.
◆ 경영활동의 공과
김인 새마을금고중앙회 회장이 2025년 1월2일 서울 강남구 새마을금고중앙회 MG홀에서 신년사를 발표하고 있다. <새마을금고중앙회>
△자산관리회사 준비 본격화
김인이 부실채권 정리 자회사의 업무 개시를 준비하고 있다.
새마을금고중앙회는 2025년4월3일 새로운 자산관리 전문 자회사인 새마을금고자산관리회사(이하 자산관리회사)의 업무 개시를 위한 준비를 본격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자산관리회사는 2025년 7월 업무를 개시한다.
자산관리회사는 금고 건전성 관리와 지속 가능한 경영 기반 강화 작업을 맡는다. 구체적으로 부실예방 및 경영개선, 부실채권의 정리를 지원할 것으로 보인다.
중앙회는 자산관리회사를 1본부 3..

- 이강영
-
세브란스병원병원장
1967년국내 대장암 로봇수술 선구자, 중증 초고난도 치료 전문병원으로 전환 주력 [2025년]
이강영은 세브란스병원의 병원장이다.
전문의 중심의 중증 초고난도 치료병원으로 시스템 전환에 주력하고 있다.
1967년 태어났다.
서울 경문고등학교를 나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했다. 연세대 대학원에서 의학 석사학위를 받고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병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세대 세브란스병원에서 수련하고, 미국 텍사스 앤더슨 암센터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2003년 연세대 의대 외과학교실에 임용됐다.
강남세브란스 대장암클리닉 팀장, 세브란스병원 적정진료관리실장을 거쳐 연세의료원 기획조정실장, 미래전략실장 겸 중장기사업본부장을 맡으며 병원의 현재와 미래 경영에 대한 청사진을 그려왔다.
2024년 4월 2년 임기의 세브란스병원장으로 선임됐다.
국내 대장암 로봇수술 분야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대한외과학회 이사장으로 있다.
◆ 경영활동의 공과
이강영 세브란스병원장이 2024년 6월27일 세브란스병원 세미나실에서 열린 대학병원 행정책임자 자문단 세미나에 참석해 축사를 하고 있다. <세브란스병원>
△중증치료병원 전환과 4차 병원 도약에 집중
이강영은 2025년 상급중증치료병원으로의 전환을 중심으로 세브란스 새 도약을 서두르고 있다.
세브란스병원은 2025년 초고난도 질환 치료를 위한 시스템 전환에 역량을 집중한다.
우선 병원의 첨단 의료 기술과 환자 경험을 공유하는 데 힘을 기울인다. 둘째, 난치성 질환 치료를 위한 연구 활동을 지속해 상급 중증질환전문병원으로 자리매..
관련기사

- 심기봉
-
덴티스대표이사
1969년 2월 15일 (양력)영업사원 출신 오너경영인, 글로벌 거점 확대에 주력 [2025년]
심기봉은 덴티스의 대표이사다.
글로벌 헬스케어 회사로 도약을 위해 해외사업 거점 확보에 힘을 쏟고 있다.
1969년 2월15일 경북 포항에서 태어났다.
부산대학교 무기재료공학과를 졸업했다.
신흥에서 영업팀장으로 일했다.
2000년바이오컴을 설립해 임플란트 유통 사업을 시작했다.
2005년 대구에서 덴티스를 세워 대표이사를 맡고 임플란트 제조에 뛰어들었다.
‘남을 이롭게 함으로 스스로를 이롭게 한다’는 이타자리(利他自利)를 경영철학으로 삼고 있다.
◆ 경영활동의 공과
심기봉 덴티스 대표이사(오른쪽)가 2025년 3월26일 박구선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과 동종치아 골이식재 개발 및 기술사업화를 위한 협약을 체결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덴티스>
△덴티스의 사업구조
덴티스는 치과용 의료기기를 만드는 메디컬 솔루션 회사다. 크게 치과용 임플란트, 의료용 조명등, 치과용 3D프린터, 바이오 등 네 개 부문에서 사업을 하고 있다.
치과용 임플란트는 자연치아가 파손 또는 소실된 경우 자연치아의 기능을 대신해주는 인공치아를 말한다. 자연치아의 뿌리(치근) 기능을 하는 지대치(Fixture)와 지대치에 연결돼 인공치관(Crown)의 기둥 기능을 하는 지대주(Abutment)로 구성된다.
덴티스는 지대치의 나사형태, 지대치의 표면처리방식, 지대주 연결방식에 따른 임플란트 제품 라인업을 갖추고 있다. 주요 제품으로는 OneQ, SQ..
관련인물
관련기사

- 이호재
-
서울옥션회장
1954년 11월 11일가나아트·서울옥션 세워 미술시장 개척, 경매 포트폴리오 확대 추진 [2025년]
이호재는 서울옥션의 회장이다. 가나아트회장도 맡고 있다.
보석과 자동차, 부동산, 위스키, 와인, 가구, 식기로 경매 품목을 확대하는 데 관심을 쏟고 있다.
1954년 11월11일 태어났다.
서울 경복고등학교와 경희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고려화랑에서 그림 영업을 하다 1983년 가나화랑을 설립했다.
IMF 외환위기를 겪던 1998년 서울경매를 세워 미술품 경매 사업에 뚸어들었다.
국내 미술품 시장의 산업화를 이끈 선구자라는 평을 듣고 있다.
◆ 경영활동의 공과
이호재 서울옥션 회장. <서울옥션>
△서울옥션의 사업
2024년 말 현재 서울옥션의 연결대상 종속회사는 2008년 설립된 홍콩 법인(Seoul Auction Hong Kong Limited) 한 곳이다.
서울옥션과 종속회사는 미술품을 경매나 중개를 통해 판매하는 사업을 한다. 사업은 경매 사업, 판매 사업, 중개 사업, 담보대출, 기타 사업으로 나뉜다. 2024년 매출액 기준으로 경매 37.46%, 판매 32.48%, 중개 5.14%, 담보대출 12.44%, 기타 12.48%의 비중을 각각 차지한다.
경매 사업은 미술품 소장자로부터 위탁받은 미술품을 경매를 통해 거래하는 사업을 말한다. 서울옥션은 경매가 성사된 후 낙찰가액에 일정 수수료율을 곱한 금액을 위탁수수료와 구매수수료로 위탁자와 구매자(낙찰자)로부터 받는다.&n..
관련인물

- 김정렬
-
ISC공동대표이사
1962년 2월전자공학도 출신 전문경영인, SK그룹과 시너지 전략 모색 [2025년]
김정렬은 ISC의 공동대표이사다.
유지한 사장과 함께 공동대표이사 체제로 ISC를 이끌고 있다.
반도체 후공정 분야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인수합병(M&A)을 추진하고 있다.
1962년 2월6일 태어났다.
경북대학교 전자공학과를 졸업했다.
현대전자에서 직장생활을 시작해 디와이엘텍으로 자리를 옮겼다.
SKC의 반도체 테스트 솔루션 자회사인 ISC에 합류해 영업을 총괄했다.
2010년 정영배 창업자가 후임으로 대표이사에 선임됐다.
ISC가 인수한 일본 JMT Inc.의 대표이사를 맡다가 ISC 대표이사로 복귀했다.
◆ 경영활동의 공과
설명김정렬 ICS 대표이사가 2024년 4월8일 언론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 ISC >
△ISC의 사업과 지배구조
ISC는 2001년 2월 설립된 반도체 테스트 솔루션 기업이다. 설립 당시 회사명은 아이에스시테크놀러지이며 창업자는 정영배 전 대표다.
반도체 칩을 테스트하는 반도체 테스트소켓 생산, 반도체 테스트 장비와 공정에 필요한 부품을 공급하는 테스트 솔루션 사업을 병행하고 있다.
2003년 3월 삼성전자 및 하이닉스와 첫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2007년 9월30일 코스닥에 상장했다.
ISC는 2004년 세계 최초로 실리콘러버 소켓 양산을 시작했다. 선발주자답게 전공정을 100% 내재화했을뿐 아니라 핵심소재의 원천기술 특허도 여러 개 보유하고 있다.
201..
관련인물
관련기사

- 서수길
-
SOOP대표
1967년 3월 9일1인방송 생태계 조성, 선정성·사행성 문제와 분식회계 의혹 해결 관건 [2025년]
서수길은 SOOP의 각자대표이사다. 최영우 CSO(최고운영책임자)와 함께 SOOP를 이끌고 있다.
분식회계 의혹과 함께 선정성 사행성 조장 문제로 도마에 오른 사업방식을 개선하는 데 관심을 쏟고 있다.
1967년3월9일 충북 괴산에서 태어났다.
서울 환일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항공우주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MBA과정을 마쳤다.
미국 보스턴컨설팅그룹에서 근무하다아이텍스타일의 대표이사로 선임됐다.
컨설팅기업 벨모어 파트너스(clayman)의 부사장을 거쳐 SKC&C에서 기획본부장으로 근무했다.
2005년 액토즈소프트와 위메이드엔터테인먼트의 대표이사를 지냈다.
2011년 SOOP의 전신 나우콤을 인수한 뒤 아프리카TV로 사명을 바꿨다.
대한당구연맹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국내 인터넷 1인 방송시장의 생태계를 조성했다.
◆ 경영활동의 공과
서수길 SOOP 최고BJ책임자가 2024년 11월15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국제게임전시회 '지스타 2024'에서 자사의 인공지능 솔루션을 소개하고 있다. < SOOP >
△SOOP의 지배구조
국내 대표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 'SOOP(옛 AfreecaTV)'을 운영하는 기업이다.
SOOP은 별풍선 중심의 후원 경제 모델을 기반으로 국내 라이브 스트리밍 시장에서 확고한..
관련인물

- 노문종
-
코오롱티슈진 대표이사
1968년 3월 12일연구인생과 함께 한 인보사 개발, 국내 실패 딛고 미국서 부활 노려 [2025년]
노문종은 코오롱티슈진의 대표이사다.
골관절염 세포유전자 치료제 ‘TG-C’의 미국 임상과 품목허가에서 셩과를 만들어 내는 데 주력하고 있다.
1968년 3월12일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미생물학과를 졸업하고KAIST에서 분자생물학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코오롱중앙기술원에 입사해생명공학연구실장으로 일했다.
코오롱티슈진의무릎 골관절염 치료제 'TG-C(인보사 미국 개발명)' 연구개발에 참여한 뒤코오롱티슈진 연구개발(R&D) 총괄 부사장과 최고기술책임자(CTO)로 근무했다.
2019년코오롱티슈진 대표이사에 선임됐다.
인보사 초기 연구개발을 주도했던 티슈진 연구원 가운데 유일하게 남아 있는 인물로 TG-C 임상을 진두지휘하고 있다.
◆ 경영활동의 공과
노문종 코오롱티슈진 대표이사가 2023년6월28일(현지시각)부터 나흘간 스위스 로잔에서 열린 글로벌 골관절염 관련 학회인 IWOAI에서 연구내용을 발표하고 있다. <코오롱티슈진>
△국제골관절염학회서 유효성 입증결과 공개
코오롱티슈진은 2025년 4월25일 골관절염 세포유전자치료제 `TG-C`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입증한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코오롱티슈진은 `TG-C, 최초의 DMOAD(근본적 골관절염 치료제)1 획득 후보 : 세포 유전자 치료제..
관련인물

- 정해린
-
삼성물산 리조트부문대표이사 사장
1964년 11월 21일35년 삼성맨, 전자와 그룹 사령탑에서 요직거치며 경영관리역량 쌓아 [2025년]
정해린은 삼성물산 리조트부문의 대표이사 사장 겸 삼성웰스토리의 대표이사 사장이다.
해외사업과 솔루션 역량을 키우는 데 힘을 싣고 있다.
1964년 11월21일 태어났다.
유신고등학교와 고려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삼성전자에 입사해경영지원실과미래전략실에서 일했다.
삼성물산에서 경영기획실 전무로 근무하다삼성전자로 복귀해 무선사업부 해외그룹장과 사업지원 T/F 부사장을 맡았다.
2023년 삼성물산 리조트부문 사장 겸 삼성웰스토리 대표이사 사장에 선임됐다.
삼성그룹과 삼성전자의 사령탑 역할을 하는 미래전략실과 사업지원TF를 거친 경영관리 전문가다.
◆ 경영활동의 공과
정해린 삼성웰스토리 사장이 2023년 12월1일 경기 성남 본사에서 열린 창립 10주년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삼성웰스토리>
△삼성웰스토리 협력사 글로벌 진출 지원
정해린은 삼성웰스토리 협력사의 세계 시장 진출 지원에 적극 나서고 있다.
삼성웰스토리는 2025년 4월식품제조 중소기업과 간식 스타트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돕기 위해 K디저트 쿠키약과(K-ookie Yakgwa) 개발과 해외 판로 확대를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식품제조 파트너사 '한울농업회사'가 차별화된 글로벌 디저트를 생산할 수 있도록 제품개발 기술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개발된 신제품을 간식 큐레이션 스타트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