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LG디스플레이가 2024년부터 삼성전자에 TV용 올레드(OLED) 패널 공급을 본격화 하면서 사업기회가 넓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18일 “LG디스플레이는 내년부터 삼성전자에 초대형 패널 기준 120만대, 일반패널 기준 250만 대 규모의 TV용 올레드 패널 공급을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돼 이익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LG디스플레이로부터 충분한 TV용 올레드 패널 물량을 확보하게 돼 마케팅 강화가 기대됐다.
김 연구원은 “삼성전자는 올해 상반기 기준으로 올레드TV 출시 1년만에 점유율 2위(18.3%)를 기록했다”며 “내년에는 삼성전자 올레드TV 출하량이 올해보다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내년 글로벌 올레드 TV 출하량은 2023년보다 53% 증가한 870만 대로 전망됐다.
2024년 올레드TV 출하량이 2023년(570만 대 예상)보다 300만 대 가량 증가하는 이유로는 내년 삼성전자와 LG전자, 소니 및 기타 기업들이 각각 100만 대씩 출하량을 늘릴 것으로 예상되는 점이 꼽혔다.
내년 올레드 제품 라인업은 기존 3개(55, 65, 77인치)에서 7개(42, 48, 55, 65, 77, 83,97인치)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됐다. 조장우 기자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18일 “LG디스플레이는 내년부터 삼성전자에 초대형 패널 기준 120만대, 일반패널 기준 250만 대 규모의 TV용 올레드 패널 공급을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돼 이익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 LG디스플레이가 내년 삼성전자에 공급하는 TV용 올레드 패널 물량이 늘어남에 따라 이익체력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는 증권업계 분석이 나왔다. <그래픽 비즈니스포스트>
삼성전자는 LG디스플레이로부터 충분한 TV용 올레드 패널 물량을 확보하게 돼 마케팅 강화가 기대됐다.
김 연구원은 “삼성전자는 올해 상반기 기준으로 올레드TV 출시 1년만에 점유율 2위(18.3%)를 기록했다”며 “내년에는 삼성전자 올레드TV 출하량이 올해보다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내년 글로벌 올레드 TV 출하량은 2023년보다 53% 증가한 870만 대로 전망됐다.
2024년 올레드TV 출하량이 2023년(570만 대 예상)보다 300만 대 가량 증가하는 이유로는 내년 삼성전자와 LG전자, 소니 및 기타 기업들이 각각 100만 대씩 출하량을 늘릴 것으로 예상되는 점이 꼽혔다.
내년 올레드 제품 라인업은 기존 3개(55, 65, 77인치)에서 7개(42, 48, 55, 65, 77, 83,97인치)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됐다. 조장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