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권오준 포스코 회장. |
권오준 포스코 회장은 2017년 어떤 운명을 맞이할까?
권 회장이 '박근혜 게이트' 연루 의혹에도 연임에 도전할 뜻을 밝히면서 포스코 차기 회장 선임에 어느 때보다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박근혜 게이트에 발목이 잡힐 경우 권 회장은 역대 포스코 회장 가운데 최초로 연임에 실패한 회장으로 남게 된다.
탄핵정국으로 정부의 입김이 약해진 상황에서 권 회장이 엄격한 검증을 통과해 연임에 성공할 경우 두 번째 임기를 다 채울 가능성이 크고 재임기간을 채운 최초의 포스코 회장으로 기록될 수도 있다.
4일 포스코에 따르면 권 회장의 연임이 25일 이사회에서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권 회장이 지난해 12월 중순 경 연임의사를 밝힌 직후 CEO후보추천위원회는 권 회장을 단독후보로 놓고 연임 검증작업을 시작했다.
CEO후보추천위원회는 포스코 내외부 이해관계자들을 대상으로 권 회장의 평가와 평판을 들었다. 지난해 12월 말에 권 회장과도 면담했다. 지금은 내부적으로 연임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포스코는 승계위원회와 CEO후보추천위원회, 이사회, 그리고 주주총회로 이어지는 회장 인사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권 회장이 연임의사를 밝히면서 승계위원회가 생략됐다. CEO후보추천위원회가 권 회장의 연임을 놓고 부적절하다고 판단하면 승계위원회가 열리고 내외부에서 차기 회장후보들을 선발한 뒤 CEO후보추천위원회가 1명의 최종후보를 결정한다.
차기 포스코 회장은 오는 3월 주주총회를 거쳐 최종적으로 결정된다.
◆ ‘최초 연임실패’ 또는 ‘최초 재임완주’의 갈림길에
역대 포스코 회장 가운데 임기를 채우고 연임에 도전해 실패한 사례는 없다. 권 회장의 연임 가능성에 힘이 실리는 대목이다.
그러나 권 회장이 박근혜 게이트에 연루된 점 때문에 연임에 실패할 가능성도 있다. 권 회장 재임시절 포스코는 미르와 K스포츠에 49억 원을 냈다. 또 차은택씨 등이 포스코의 광고계열사였던 포레카 강탈을 시도하는 과정을 놓고 여러 의혹이 불거졌다.
국회 청문회에서도 권 회장이 선임되는 데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과 최순실씨 등이 개입했다는 의혹이 제기돼 자격논란에도 휩싸였다.
앞으로 특검수사 과정에서 권 회장과 포스코가 박근혜 게이트에 연루된 정황이 추가로 밝혀질 가능성도 있다.
권 회장이 박근혜 게이트에 연루된 구체적 혐의가 드러나지 않더라도 포스코를 둘러싼 여론이 악화한 점도 권 회장 연임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
CEO후보추천위원회는 권 회장의 성과와 향후 계획뿐 아니라 박근혜 게이트 관련 의혹도 검증하고 있다.
정부가 포스코 회장인사에 입김을 행사하는 일은 공공연한 사실로 받아들여졌지만 권 회장의 경우 비선실세 개입의혹까지 일면서 포스코 인사시스템의 허술함이 더욱 두드러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포스코는 권 회장의 인사논란을 만회하기 위해서라도 차기 회장인사에 더욱 공을 들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원칙대로 인사시스템을 가동한다면 권 회장의 인사논란이 포스코에 전화위복의 계기가 될 수 있다.
게다가 탄핵정국으로 정부가 포스코 회장인사에 개입할 길이 사실상 차단되고 있다. 차기 회장인사를 외풍을 차단하는 계기로 삼는다면 정권이 바뀔 때마다 교체되는 포스코 회장의 잔혹사도 끝낼 수 있다.
|
|
|
▲ 권오준 포스코 회장. |
◆ 이사회와 주주, 포스코 외풍 차단의 열쇠
포스코는 지배주주가 없는 회사인 만큼 이사회가 경영감시라는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돼 있다. 또 포스코 이사회는 현재 사내이사 5명과 사외이사 6명으로 사외이사 비중이 높아 객관적이고 독립적인 판단이 가능한 구조다.
회장 선임절차에서 가동되는 인사시스템도 마찬가지다. CEO후보추천위원회는 100% 사외이사로 구성되며 승계위원회는 사내이사 1명과 사외이사 3명으로 이뤄진다.
문제는 포스코의 사외이사들이 박원순 서울시장처럼 정부와 독립적 판단을 할 수 있느냐 하는 점이다. 박 시장은 포스코 사외이사로 재임하던 때 이명박 전 대통령의 사람으로 꼽히던 정준양 전 포스코 회장의 선임과정에서 진행된 세 차례 투표에서 모두 반대표를 던졌다고 밝혔다.
포스코의 사외이사는 현재 이명우 동원산업 사장, 신재철 전 LG CNS 사장, 김일섭 서울과학종합대학원 총장, 선우영 법무법인 세아 대표 변호사, 박병원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 김주현 현대경제연구원 고문, 안동현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 등 6명이 맡고 있다.
포스코 관계자는 “CEO후보추천위원회에서 이번만큼은 책임을 지고 회장후보를 검증하겠다는 뜻을 세운 것으로 안다”며 “포스코 내부적으로도 위원회에 협조적하고 위원회 결과를 수용하겠다는 분위기가 형성됐다”고 말했다.
포스코에 지배주주가 없지만 국민연금이 최대주주로 이름을 올리면서 정경유착의 고리를 끊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민연금이 정부 입김의 창구역할을 하면서 이사회를 정부 입맛대로 구성하고 결국 거수기 이사회로 전락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국민연금은 포스코 지분 10.62%를 보유하고 있다.
재계 관계자는 “포스코가 소액주주의 권리를 강화하는 집중투표제를 강화하고 있지만 소액주주들이 뜻을 모을 수 있는 환경이 마련돼 있지 않아 사실상 무용지물”이라며 “정부가 포스코 최대주주로 있는 국민연금을 통제하는 구조 아래에서 포스코의 정경유착 역사는 반복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수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