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BNK금융그룹은 금융당국이 출범을 추진하고 있는 빅테크 주도의 대환대출 플랫폼과 은행연합회 주도 대환대출 플랫폼 양쪽 모두에 참여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BNK금융그룹 관계자는 “아직 플랫폼 출범이 완료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구체적 결정을 내린 것은 아니지만 그동안 빅테크 핀테크 기업들과 꾸준히 협업을 해왔기 때문에 가능성이 없지 않다”고 말했다.
빅테크 주도 플랫폼은 10월 출범할 것으로 예상되고 시중은행 중심의 은행연합회가 주도하는 공공대환대출 플랫폼은 12월 경 출범이 예상되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금리가 싼 상품으로 소비자들이 쉽게 갈아탈 수 있도록 하는 대환대출 플랫폼을 빅테크 주도의 플랫폼과 은행연합회가 주도하는 공공대환대출 플랫폼 두 가지로 출범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소비자들은 대환대출 플랫폼이 구축되면 지금처럼 은행 창구에 가지 않고도 비대면으로 금융사들 사이 금리를 비교해 간편하게 대출을 갈아탈 수 있게 된다.
주요 시중은행들은 빅테크 종속에 우려를 제기하며 은행연합회 주도의 플랫폼에만 참여할 것으로 결정한 것으로 전해진다.
소비자 접근성이 우수한 네이버, 카카오 등 빅테크가 서비스를 주도할 가능성이 높아 빅테크의 금융권 잠식이 심해질 수 있다는판단에 따른 것이다.
시중은행들이 빅테크 주도 대환대출 플랫폼에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것과는 달리 BNK금융그룹이 두 플랫폼 모두에 참여할 것으로 보는 시선이 나온다.
하지만 김지완 회장은 빅테크와 협력을 통해 지방금융그룹의 한계를 넘고 고객층의 지역과 연령대를 넓힐 수 있는 기회로 삼을 수 있다.
빅테크 플랫폼의 영향력을 활요하면 수도권 등 전국을 대상으로 영업이 가능하고 새로운 소비층으로 주목받는 MZ세대에 접근하는 데도 유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방금융지주는 KB·신한·하나·우리·농협 등 5대 금융지주와 비교해 고객층과 자체 디지털 전환에 현실적 한계가 있는 만큼 빅테크의 기반을 발판으로 삼아 기술적 보완을 할 수 있는 셈이다.
물론 빅테크에 종속될 수 있다는 시선이 나오지만 그전에 지방금융사 입장에서는 빠르게 디지털 전환을 진행해나가고 있는 시중은행들을 따라잡기 위해 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인 셈이다. 두 세력 사이 기 싸움이 벌어지는 가운데 양 쪽 플랫폼 이용 고객들을 모두 공략할 수 있기도 하다.
대환대출 플랫폼은 많은 금융사들이 플랫폼에 참여할수록 경쟁력을 갖추는 데 유리하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은행 주도의 대환대출 플랫폼이 두 플랫폼 가운데 소비자의 선택을 받기위해 다양한 금융상품 선택 제공의 확보 차원에서 2금융권 등까지 참여를 넓힐 계획을 세워두고 있다”고 말했다.
경쟁력 확보 차원에서 두 플랫폼 모두 최대한 많은 금융사를 자기 플랫폼으로 끌어들이려 한다는 의미다.
김지완 회장은 BNK금융그룹의 모든 가계금융의 모바일화를 최우선 과제로 밝혀왔고 데이터 기반 초개인화 상품을 출시한다는 목표도 세워뒀는데 이를 실현해 가는 데 힘을 받을 수 있다.
김 회장은 2023년까지 디지털 고객 수 500만 명, 월 이용자 수(MAU) 200만 명, 디지털 여·수신 잔액 각각 10조 원 목표도 내놨다.
김 회장은 이 밖에 데이터 전문기업 쿠콘과 제휴를 맺고 마이데이터사업 진출을 준비하고 있는데 어디까지나 쿠콘의 데이터 역량에 의존하는 것이라 자체 데이터 역량 강화를 위해서도 이번 플랫폼 참여를 통한 디지털 전환 및 고객층 확대의 기회가 중요할 수 있다는 시선도 나온다.
BNK금융그룹은 대주주 적격성 문제로 금융당국의 승인이 필요한 마이데이터사업 진출에 제동이 걸리자 데이터 전문기업인 쿠콘과 제휴를 통해 마이데이터사업 진출의 우회로를 찾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도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