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쪽부터) 플라이강원 항공기, 에어로케이 항공기, 에어프레미아 항공기 |
저비용항공사 플라이강원과 에어로케이, 에어프레미아가 올해 날개를 펴자 곧바로 코로나19를 맞아 날 수나 있을지 불안하다.
이 세 항공사는 지난해 3월 국토교통부로부터 신규 항공운송사업 면허를 발급받았다.
13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강원도 양양공항을 모기지로 하는 플라이강원은 취항한지 얼마 되지 않아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았다.
플라이강원은 2019년 11월 양양과 제주를 잇는 국내선 정기편 운항을 시작으로 양양~대만 타이베이와 양양~필리핀 클락 등 국제선 운항을 시작했다.
플라이강원은 제주 노선을 1월 증편하기로 했다가 코로나19로 한 달 만에 하루 3회에서 주 2~3회로 80% 운항 감편에 들어갔고 타이베이와 클락 노선 탑승률도 떨어져 급기야 3월 임시휴항에 들어가게 됐다.
주원석 플라이강원 대표이사는 최근 한 매체에 기고한 글에서 “코로나19 상황이 장기화 되면서 플라이강원의 존립 자체도 어려울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들려오고 있다”며 “항공산업은 막대한 자본이 필요한데 갑자기 닥쳐온 코로나19 위기를 견딜 여력을 확보하지 못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충북 청주를 기반으로 하는 에어로케이와 중장거리 특화 항공사를 내세운 에어프레미아도 코로나19 확산 앞에서 속수무책인 상황에 놓여있다.
에어로케이는 지난해 10월 국토부에 항공운항증명(AOC)을 신청하고 현재 발급을 기다리고 있다.
항공운항증명은 안전운항에 필요한 조직, 인력과 시설 등의 적합여부를 심사하는 과정으로 일반적으로 약 6개월의 기간이 소요된다. 항공업계에서는 에어로케이가 3월 말이나 4월 중순 쯤 항공운항증명을 받을 것으로 예상했다.
에어로케이는 4월 중순 이후 첫 취항에 나서기로 계획을 세워뒀지만 국제보건기구(WHO)가 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팬데믹)을 선언할 정도로 상황이 악화되면서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게 됐다.
특히 저비용항공사의 경우 중국과 같은 국제선은 기본적으로 일정한 수준의 비행횟수를 보유하고 있어야 노선을 신청할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 추진할 국제선 취항에도 차질을 빚게 됐다.
에어프레미아는 지난달 항공운항증명을 신청해 플라이강원이나 에어로케이와 달리 코로나19라는 난기류와 직접 맞딱뜨리지는 않았다. 항공운항증명 발급에 6개월이 걸리는 것을 가정할 때 첫 취항은 7월~8월로 예상된다.
하지만 코로나19 사태가 완전히 마무리되고 항공업황이 회복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어 에어프레미아도 안심할 수 없다.
게다가 에어프레미아는 애초 세워놓은 계획대로 최근 150여 명의 객실승무원 채용절차에 들어가 향후 경영에 부담이 클 수 있다는 시선도 나온다.
허희영 한국항공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는 “항공업계가 코로나19로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한 상황에서도 에어프레미아는 과감하게 채용을 단행했다”며 “우수 인력을 조기에 확보하고 어렵게 얻은 항공사업기회를 놓치지 않기 위해 결정한 것으로 보이지만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 국면으로 접어들게 되면 자금부담이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항공전문가들은 이미 공급과잉에 빠져 있는 국내 저비용항공업계에 코로나19 사태까지 겹쳐 장기불황 가능성도 나오는 만큼 자금력이 약한 플라이강원과 에어로케이, 에어프레미아가 버티기 힘든 상황이 펼쳐질 수 있다고 바라보고 있다.
황용식 세종대학교 경영학부 교수는 “항공업황의 장기불황 가능성까지 거론되고 있는 마당에 저비용항공사가 추가로 시장에 나오게 되면 출혈경쟁이 불가피해 자금력이 없으면 존립하기 어려울 수 있다"고 말했다.
황 교수는 “미국에서는 1970년대 후반 규제완화로 누구나 자본만 있으면 항공업계에 진출할 수 있는 상황이 벌어졌고 결국 과당경쟁으로 1980년대에 도산하는 항공사들이 속출했다"며 "미국의 사례에 비추어볼 때 플라이강원과 에어로케이, 에어프레미아가 직면한 상황은 엄중하다”고 덧붙였다.
국토교통부도 저비용항공사들이 맞이한 상황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대안을 마련하겠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2월에 내놓은 긴급 금융지원 및 각종 사용료 납부 유예를 신속하게 처리하고 코로나19 사태가 소강상태에 접어들어 항공사들의 운항이 재개되면 착륙료 증가분을 감면하는 등의 정책을 검토해 항공업계가 맞이한 어려움을 해결하는데 힘을 보탤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장우 기자]